모빌리티 산업 활성화 필수조건은…여야 의원 "규제 개혁 필수적"

'모빌리티 포럼' 4차 세미나 개최
박지성 기자 2022-06-28 10:52:42
국회 '모빌리티 포럼' 4차 세미나에서 여야 국회의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박지성 기자
국회 '모빌리티 포럼' 4차 세미나에서 여야 국회의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박지성 기자
[스마트에프엔=박지성 기자] 28일 오전 10시 국회 도서관 강당에서 ‘모빌리티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언’이라는 주제로 국회 모빌리티포럼 4차 세미나가 개최됐다.

국회 모빌리티포럼은 여·야 총 58명의 국회의원으로 구성하고 있으며 권성동·이원욱 의원이 공동대표를, 윤한홍·홍성국 의원이 연구책임 의원을 맡고 있다.

국회 모빌리티포럼 공동대표인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인사말을 통해 “모빌리티산업은 자율주행, 드론, 친환경 자전거, 킥보드, 승차공유서비스 등 시장규모가 방대한 바 이 가운데 자율주행이 모빌리티산업의 꽃이라 할 수 있다”며 “자율주행의 경우 구글, IBM과 같은 글로벌 IT기업은 물론 GM, 도요타, 현대자동차그룹 등 글로벌 자동차업체들이 참여해 치열한 기술개발 경쟁을 벌이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맥킨지에 따르면 전세계 모빌리티시장 규모는 2030년 약 1조5000억 달러(한화 약 1680조원)로 반도체 시장규모의 약 3배에 크기의 미래 먹거리이며 올해 연말이면 국내에서도 자동차가 스스로 운행하는 ‘레벨3’ 자율주행차 시대가 열릴 전망이나 우리나라는 제도가 기술의 발전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라고 강조했다.

권 대표는 “미국, 독일, 일본 등은 각각 레벨3이상의 자율주행 관련 법·제도를 정비해 둔 상태라고 하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레벨3 자율주행차는 임시운행만 가능할 뿐 상용화를 위한 규제 개선이 미비한 실정”이라고 언급하며 “우리나라 모빌리티 산업의 지속적 발전과 국제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규제 완화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끝으로 “새정부 정책 방향의 핵심은 단연 ‘규제 완화’이므로 새정부가 미래 모빌리티 시대를 대비한 패러다임 전환을 지원하고 규제 완화에 적극 나설 것이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공동대표인 이원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세계 최고 수준으로 성장한 우리 자동차산업은 예측불가한 산업환경 변화와 친환경 미래 기술 구축을 위한 다양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며 “어려운 상황을 슬기롭게 잘 극복한다면 새로운 모빌리티 기술이 충분히 구축돼 우리가 선진 미래 모빌리티 산업을 선도하는 국가로 발돋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이를 위해서는 현재 포지티브 위주의 규제에서 큰 틀에서의 방향 전환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며 정부, 기업, 연구소 등 여러 주체가 패러다임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미래지향적 대안을 함께 마련해 나가야 할 것”이라며 “향후 모빌리티 분야에 대한 지원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면 그 혁신 성과가 기업의 경쟁력 향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국가 경제 발전, 국민 행복 실현에 이바지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정만기 KAMA 회장은 “모빌리티란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최적 이동 수단과 경로를 찾아 사람과 사물이 편리하게 움직이도록 하는 것”이라며 “이 개념에는 정책과 제도까지 포함된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모빌리티는 전동화, 고속화, 지능화 속 IT접목 등으로 이동경로와 수단이 수요위주로 전환되는 개별화뿐만 아니라 교통수단간 연계성을 높여가는 통합화도 확산되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이러한 추세에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 미래 성장동력을 잃을 수 있어 지능화, 개별화 촉진을 위한 광범위한 규제 프리 테스트베드 구축과 공유차량 서비스 활성화 등 과감한 규제 개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 회장은 “신 정부는 ‘규제개혁이 곧 국가성장’이라며 강력한 규제개혁 의지를 보이고 있으나, 실제로는 규제개혁이 국회 입법을 통하여 이루어지므로 국회의 인식이 중요하다”며 “국회에선 신규 규제를 1개 만들 때 반드시 기존 규제 2개나 3개를 철폐하는 영국식 ‘One in Two or Three out’ 제도를 도입해 줄 것을 바란다. 규제들이 있는 데도 새로운 규제를 도입하거나 신규 규제 도입으로 규제들 간 충돌이 생기는 경우도 빈번하여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끝으로 “자동차분야 외국인투자기업의 경우 파견이나 대체 근로 불법화 등 우리의 독특한 규제로 인해 CEO들이 출국금지나 형사처벌 위기에 처해진다”며 “최소한 우리 기업들이 외국기업들과 동등한 경쟁을 할 수 있도록 독특한 규범은 글로벌 규범과 부합되도록 개혁해 줄 것”을 요청했다.

김용원 KAMA 환경안전본부장은 자동차산업 위축요인으로 “고비용·저효율 생산구조 고착화에 의한 경쟁력 저하, 산업기반 고려 없는 급속한 기후변화 대응과 환경규제, 중국의 팽창과 세계시장 영향력 확대”등을 언급하면서 “제도가 환경변화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14대 국회 대비 20대 국회의 경우 대부분 규제 조항을 포함하고 있는 국토·교통, 환경·노동 관련 법안 발의는 약 66배 증가헸다”며 “우리나라 규제 순 비용은 2018년 185억원에서 2020년 1929억으로 계속 증가중이어서 규제 개혁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입법부 규제 심사 절차의 경우 미국은 연방상원 법안 상정시 규제영향평가를 받도록 하고 있고 독일은 의원발의안에 대한 3단계 영향평가 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규제영향평가가 전무한 실정”이라며 “발의 법안에 대해서는 정부입법이건 의원입법이건 간에 규제영향평가를 받도록하는 한편, 관련된 기존 규제에 대한 적정성 등도 평가해 이의 존치 여부를 심사, 분석하는 가칭 ‘규제영향심사위원회’를 국회내 신설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의원별 의정활동 평가도 입법건수 위주 양적평가에서 입법의 질을 평가하는 질적 평가로 전환해야 갈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자동차분야의 규제 개선과 관련 해서 △자발적 리콜에 대한 과징금 부과 면제 △온실가스 과징금과 저무공해차 보급목표제 기여금 중복 부과 시 기여금 전액 감면 △전기차 보조금을 받기 위한 실효성 낮은 시험 규정 개선 △전기차 보조금 지급을 위한 인증절차 개선 △사내도급 근로자 사용관련 규제 완화 △미래차 전환 노동·생산 유연성 확보 등을 제시했다.

이경수 서울대 기계공학부 교수는 “자동차산업은 ICT 소프트웨어, 인공지능, Data 기술을 바탕으로 미래 모빌리티 산업과 연계해 이동수단에서 종합서비스 산업으로 변하고 있으며, 자율주행 전기자동차를 핵심요소로 하는 미래 모빌리티 산업으로의 변화 시대에 직면하고 있다”며 모빌리티 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핵심 부품기술 및 시스템, 차량플랫폼 전문기업 육성이 필요하며, 전문기업에서 필요한 핵심기술과 세계적 우수 인력 양성이나 확보가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국가 연구개발 사업이 국가 연구소 주관, 중소기업 주관으로 추진되고 있으나 자동차 완성차 기업, 중소기업, 스타트업, 대학의 전문 연구소와의 협업은 미흡하다”며 “우수한 석박사 연구인력을 양성하는 대학이 장기적인 기획연구를 통해 기업과 협력해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는 우수한 인력을 양성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수영 현대자동차 Tass본부 MCS lab 상무는 “현대자동차 AIRS에서는 ’지난 2021년 3월부터 AI알고리즘 기반 실시간 최적경로 생성 기술을 바탕으로 수요응답형 교통 서비스(DRT)인 셔클을 세종, 파주에서 운영중이며 ’2022년 5월말 기준 총가입자수 5만여명, 누적호출수 48만8000건, 누적탑승객 수 49만3000명으로 큰 성과를 이뤘다”고 전했다.

그는 향후 “셔클 플랫폼 내 자율주행 시범운행을 통한 오픈 플랫폼 개발, MaaS(Mobility as a Service) 도입으로 양질의 공공 교통 서비스 인프라로 확장, 다양한 미래 통합 서비스 플랫폼으로 지속발전, 글로벌 스마트시티의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 인프라로 진출 등을 추진할 계획”이며 당면 과제로 “데이타 기반 운영 효율화 및 시스템 고도화, 공공교통 중심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 확대를 위한 수요응답형(DRT) 면허기준 마련, 신도시 대중교통 수단으로 공식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축사를 전하고 있다. /사진=박지성 기자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축사를 전하고 있다. /사진=박지성 기자




박지성 기자 captain@smartfn.co.kr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