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지지율, 37.8%…정당 지지도는 국민의힘 35.3% 민주당 46.1% [리얼미터]
2023-09-25
이에 국회 국토교통위원회는 오는 22일 전세사기 특별법 제정을 위한 다섯 번째 법안심사소위원회의를 개최한다. 이번 회의에서도 합의가 불발되면 신속한 방안 마련을 위해 여야 원내 지도부가 나서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데이터 기반 리서치 기업 메타서베이(MetaSurvey)는 설문조사 서비스 메타베이를 통해 이달 11일부터 17일까지 10~60대 남녀 200명을 대상으로 전세사기에 대한 국민 인식조사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먼저 ‘전세사기 피해의 가장 큰 책임자는 누구라고 생각합니까?’라는 질문에 ‘임대인’을 선택한 이들이 전체 51%로 가장 많았다. ‘공인중개사’의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이들도 20%로 적지 않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임차인’ 14.5% ‘정부’ 12.5% ‘기타’ 2% 순이다.
‘전세 계약 시 공인중개사의 역할은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합니까?’에 대한 답변으로는 ‘중요하다’가 81.5%로 압도적인 비율을 보였고 ‘보통이다’ 11% ‘중요하지 않다’가 7.5%로 뒤를 이었다.
참여자들의 56.5%는 ‘전세사기 피해를 줄이는 데 정부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합니까?’라는 질문에 ‘중요성이 크다’고 답했으며 ‘작다’, ‘보통이다’는 각 25.5%, 18% 순이다.
그러나 ‘현재 전세사기 피해를 줄이는 데 정부의 기여도는?’이라는 질문에는 ‘낮다’의 비율이 58.5%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높다’는 28% ‘보통이다’는 13.5%로 나타났다.
아울러 ‘전세사기 방지를 위해 임차인이 노력해야할 점은?’이라는 질문에는 ‘계약서와 임대인의 등기부등본 등 세심한 서류 확인’이 65%로 1위에 올랐고 ‘중개사의 경험과 신뢰성 확인’이 14%로 2위를 차지했다. ‘관련 법안이나 규정 등을 확인’해야 한다는 10%이며 ‘임대인의 신뢰성을 확인’은 8%로 집계됐다.
‘전세사기 피해를 입은 경우 대처 방법은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에 대한 답변으로는 ‘경찰에 신고하고 법적 조치를 기다린다’가 42%로 가장 많았다. ‘관련 증거를 수집해 소송을 제기한다’는 27.5% ‘SNS나 온라인 커뮤니티에 사건을 공유해 대대적으로 알린다’ 13% ‘같은 피해자를 찾아 해결 방안을 모색한다’ 6.5% ‘관련 업계 주변인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6% 순이다.
주성남 기자 news@smartfn.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