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위험하다’ 국회 토론회…“무능력·무책임·무기력 최정우 회장 사퇴하라”

3일 여야 국회의원 및 시민단체 참여 토론회 열어…최정우 회장 연임 공식 반대
나정현 기자 2021-03-03 18:35:31
‘최정우회장 3년, 포스코가 위험하다’ 토론회 모습. 사진=금속광전 유튜브 캡쳐
‘최정우회장 3년, 포스코가 위험하다’ 토론회 모습. 사진=금속광전 유튜브 캡쳐
[스마트에프엔=나정현 기자] 여야 국회의원과 시민단체가 최정우 회장의 연임을 반대하는 토론회를 열고 포스코의 계속되는 산업재해와 미온적인 대응을 비판했다.

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정우 회장 3년, 포스코가 위험하다’ 토론회에는 더불어민주당 노웅래 국회의원, 윤미향 국회의원, 정의당 강은미 국회의원, 전국금속노동조합 김호규 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토론회에서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포스코의 산업재해 문제와 직업병 문제, 환경오염문제 등이 논의됐다.

금속노조 포스코지회 김찬목 지회장은 포스코는 그동안 사회적 모범기업, 국민기업으로 국민들에게 인식됐지만 대표적인 정경유착과 살인기업으로 표상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 지회장은 “2018년 최정우 회장 취임 이후에도 환경오염과 중대재해, 노동탄압, 왜곡된 기업지배구조, 각종 정경유착 부정비리 스캔들, 불투명한 회장선출, 군대식 생산현장통제, 폐쇄적이고 비밀주의를 고수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특히 코로나19로 전 국민이 고통 받고 있는 상황에서 노동자 임금동결, 하청노동자 임금삭감과 15% 인원감축, 촉탁직 및 계약직 노동자 해고 등을 진행하면서도 최정우 회장은 상반기에만 12억원의 연봉을 챙겼고 고위임원 또한 수십억원의 상반기 연봉을 받아, 국민들로부터 지탄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또한 포스코는 지난 2020년 1월 전라남도로부터 대기오염물질 저감 조치 이행을 전제로 조업정지 행정처분을 면제받아 수천억원의 손실을 피했다. 하지만 저감 조치 이행 하지 않은 사실이 최근 밝혀졌다.

산업재해는 지난 2018년 7월 최정우 회장 취임 이후 매년 사망사고가 발생해, 최소 16명의 노동자가 사망한 것으로 집계됐으며 2018년부터 2019년에 9명이 사망했고, 2020년 이후 현재까지 11명이 사망한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고 전했다.

전남노동권익센터 문길주 센터장은 포스코의 노후 된 생산설비와 정비보수의 소흘, 안전관리감독 부실 등을 중대재해 사고의 원인으로 꼽았다.

문 센터장은 “최근 포스코 설비의 노후화가 급속도로 빨라지면서 회사관계자와 작업노동자들이 예측할 수 없는 물리적, 구조적 문제에 의해 산업재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예상했다.

그는 포스코의 산재은폐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포스코는 산업재해가 발생하면 재해 노동자에게 징계를 하는 조항이 있다”면서 “대부분 노동자는 징계조항 때문에 산재신청을 하지 않는 경우를 여러 번 상담했다”며 비슷한 재해가 발생하지 않기 위해 산재를 은폐하면 안 된다고 주장했다.

광양만 녹색연합 박수완 사무국장은 포스코 광양제철소의 환경오염 문제를 지적했다.

박 사무국장은 광양제철소는제강, 제선, 압연, 연주공정을 갖춘 일관제철소이며 각 공정별 다량의 환경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산업시설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포스코는 ‘환경문제’에 대해서는 이중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며 “대외적으로는 지구온난화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적극적인 입장을 취하며 기업의 이미지를 홍보 하지만 광양지역에서 발생하는 환경문제에 대해서는 책임을 회피하거나 사실 여부 확인에 대해 미온적”이라며 비판했다.

이어 “특히 제철소 내에서 발생되는 환경오염문제 등이 외부로 알려지는 것을 철저하게 관리한다”며 “시민단체나 언론을 통해 알려져 문제가 발생 된다하더라도 고발자나 문제 제기 단체 등을 지역사회에서 철저하게 고립시키고 왜곡시키는 행위를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참여연대 이지우 간사는 포스코 그룹의 경영상 문제점과 국민연금의 주주권 행사 필요성을 언급했다.

이 간사는 “2009년 정준양 회장 취임부터 포스코의 급격한 부실화됐다”면서 “S&P 신용등급 또한 2007년 A에서 2012년 BBB+로 강등되는 등 우량했던 회사가 부실한 회사로 변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포스코는 공공성을 갖고 있는 기업으로 국민연금은 산업재해나 지역 환경오염, 그리고 경영부실에 대한 책임을 더욱 강하게 물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며 “국민연금은 이번 정기주주총회에서 최정우 회장과 이사들의 연임 반대의결권을 행사해야 할 뿐만 아니라, 필요시 임시주주총회 개최를 요구해 공익이사를 선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전했다.

토론회에서 정의당 강은미 의원은 “포스코 최정우 회장은 포스코에서 수없이 죽어간 노동자와 고통받고 있는 주민, 직원들에 대한 영혼없는 사과 등 무능력, 무책임으로 무기력하게 대응했다”며 “포스코는 시민사회, 노동계가 뽑은 최악의 살인기업에 늘 수위를 차지해왔다”고 비판했다.

더불어민주당 노웅래 의원은 “포스코의 50년 이상 된 노후 시설들은 언제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이나 다름없다”라며 “안전설비에 대한 투자는커녕 시설 교체와 정비조차 제대로 하고 있지 않은 채 단기 성과에만 급급해 하청업체를 무리하게 압박해 사고를 사실상 조장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더불어민주당 윤미향 의원은 포스코 최정우 회장이 산업재해의 원인(노후설비)을 뻔히 알면서도 개선의지가 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포스코는 대일청구자금으로 세워진 유일한 기업”이라면서 “최악의 산업재해 기업이라는 오명을 벗고 다시 국민이 자랑스러워하는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선 노동자를 존중하면 된다”고 조언했다.

앞서 지난달 15일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도 최고위원회의에서 “포스코가 산업재해와 환경오염 등으로 지탄의 대상이 됐다”며 “산업재해 사고가 반복되고 있는데 안전조치를 취하기는커녕 무책임한 태도를 취하는 포스코에 분노를 금할 수 없다”며 비판한 바 있다.



나정현 기자 oscarn@smartfn.co.kr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