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제일제당은 5개 국(미국∙브라질∙인도네시아∙중국∙말레이시아) 7개 사업장에서 생산하는 41종 제품에 대한 LCA 산정 프로세스를 수립하고, 제3자 타당성 평가를 마쳤다고 15일 밝혔다. 국내 식품, 그린 바이오 업계에서 단일 제품이 아닌 사업장 단위로 LCA 검증을 받은 첫 사례다.
LCA는 원료 조달부터 제품 제조·운송·사용·폐기 등 전 과정에 투입되는 물질과 에너지, 배출되는 폐기물 등을 정량화해 환경 영향을 산출하는 과정으로, 이번 제 3자 타당성 평가는 글로벌 에너지·환경 전문 인증 기관인 DNV가 맡았다. DNV는 국제표준화기구(ISO)의 기준으로 각 제품별 ‘출고 전 과정(cradle-to-gate)’에서 기후 변화, 자원 고갈 등 주요 환경영향 지표 값을 바탕으로 타당성 평가를 진행했다.

고객사의 ESG경영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도 개발중이다. 사료 배합비와 탄소발자국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 ‘BIOFEED’를 활용해 기술 마케팅 역량을 한 층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윤석환 CJ제일제당 BIO사업부문장은 “친환경 공법으로 아미노산을 양산할 수 있는 생산기술을 확보하는 등 지속가능한 그린 바이오 시장을 조성하려는 노력을 이어왔다”며, “앞으로 국제 표준화된 LCA 체계를 기반으로 저탄소 제품 개발을 확대하고 배출량 감축에도 더욱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홍선혜 기자 sunred@smartfn.co.kr
관련기사
- CJ제일제당, ‘컬리 푸드페스타 2024’ 참가… 소비자 소통 강화
- CJ제일제당, 글로벌 영양원료 사업 키운다
- CJ제일제당, 컬리와 손잡고 붕어빵 신제품 선보여
- CJ제일제당, 해외 누들시장 공략… 글로벌 식품사업 확장
- CJ제일제당, 'K-볶음밥'으로 미국 즉석밥 시장 확대
- CJ제일제당, 8천억원 투자해 미·유럽 신규공장…해외식품 강화
- CJ제일제당 바이오사업매각 추진…"다양한 전략적 방안 검토 중"
- CJ제일제당, 3분기 영업익 2764억원...전년비 0.4%↑
- CJ제일제당, 이마트와 전략적 파트너십 강화… “소비자 관점 혁신 제품 선보일 것”
- CJ제일제당, 지난해 영업이익 1조 323억 원···전년비 39.2% ↑
- CJ제일제당, 비비고 K-소스∙치킨∙핫도그로 유럽 포트폴리오 확대
- CJ제일제당 ‘습김치‘, MZ세대 화제 속 완판 행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