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시장에 '신세계백화점 효과'가 뚜렷해지고 있다.

생활 편의를 넘어, 지역 개발과 상권 확장이라는 파급 효과까지 더해지면서 '신세계 프리미엄'이 부동산 가치를 좌우하는 분위기다.

최근에는 백화점 내 문화센터에서 자기계발, 체험 활동 등의 다양한 강좌도 제공해 가족단위 '문센족(族)' 선호도 높다.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전경. /사진=신세계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전경. /사진=신세계

3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신세계백화점이 자리한 곳(13개 지점) 일대에 아파트가 자리한 곳은 대부분 지역 시세를 리딩했다. 

신세계백화점은 강남점, 본점, 센텀시티점, 대구점 등 4개 지점에 3대 명품 브랜드인 '에루샤'(에르메스, 루이비통, 샤넬)를 보유하고 있어 고소득 소비자를 끌어들인다.

교통망이 좋은 곳에 입점해 신세계백화점 인근이라면 아파트 입지도 검증을 마친 곳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타 백화점 대비 신세계푸드, 신세계인터네셔널 등 계열사와 시너지를 내는 것도 강점으로 꼽힌다.

수도권에서는 강남점(서울 서초구 반포동) 일대가 '평당(3.3㎡) 1억원' 시대를 연 고가 아파트가 몰린 있는 국내 최고 부촌이다. 고속버스터미널과 인접해 전국에서 고객이 유입되는 곳으로 꼽히며, 지난해 매출액 3조3269억원으로 전국 1위다.

경기 의정부점 일대 부동산도 신세계 효과를 보고 있다.

'더샵 의정부역 링크시티' 전용면적 84㎡ 분양권이 작년 11월 8억7130만원에 거래됐고 '의정부역 센트럴자이앤위브캐슬' 동일 면적대가 작년 11월 8억6500만원에 손바뀜되며 작년 해당 면적대 기준 의정부 1·2위를 기록했다. 의정부점은 1호선 의정부역을 끼고 있고, 추가로 GTX-C 노선이 개통 예정이라 백화점 일대로 개발이 지속될 전망이다. 

지방에서도 신세계백화점 프리미엄이 거세다. 대구점(동대구역), 센텀시티점(부산 해운대) 등 광역시를 중심으로 신세계백화점이 지역 집값을 이끌고 있다.

전문가들은 "단순 유통 시설이 아니라 고급 문화·예술·쇼핑이 결합된 복합 라이프스타일 공간으로 자리 잡으면서, 해당 지역 이미지를 통째로 끌어올리는 효과가 있다"며 "백화점 내 문화센터와 체험시설을 통해 형성되는 ‘문센족’ 커뮤니티 역시, 가족단위 실거주층이 몰리는 새로운 부동산 변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DL이앤씨는 이달 신세계백화점 맞은편인 대구 동구 신천동 옛 동대구고속버스터미널 부지에 'e편한세상 동대구역 센텀스퀘어'를 분양할 예정이다. 전용면적 79~125㎡ 총 322가구로 건립되며, 전 가구가 일반분양된다. 단지 바로 맞은편 신세계백화점이 위치했다.  

강남 신세계 부근에서는 삼성물산 시공 반포동 '래미안 트리니원'이 분양 예정이다. 총 2091가구로, 전용면적 59㎡(456가구), 84㎡(49가구) 총 505가구가 일반분양 예정이다. 부산에서는 우동2구역 재개발로 660가구가 공급을 앞두고 있으며, 신세계 센텀시티점이 도보거리에 자리한다.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