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5G 유심(USIM) 망에 양자암호(QKD)와 양자내성암호(PQC) 및 가상 사설망(VPN)을 통합한 하이브리드 양자암호통신 네트워크를 국내 최초로 적용했다고 26일 밝혔다.

KT 연구원들이 하이브리드 양자암호통신을 적용하고 있다.
KT 연구원들이 하이브리드 양자암호통신을 적용하고 있다.

5G 유심 망은 유심 정보를 유심 제조사에서 KT에 등록하거나 휴대전화 가입 절차에서 사용자 인증을 할 때 유심 정보를 전달하는 망을 말한다.

KT에 따르면 양자 컴퓨터 등 기술 발달에 따라 이 망이 해킹 위협에 노출되면 사용자 인증 정보와 같은 주요 데이터가 복제돼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KT가 5G 유심 망에 적용한 네트워크 구조는 양자암호와 양자내성암호-VPN이 융합된 하이브리드 구성으로 KT 외부 인터넷과 내부 전용 회선을 모두 연결하는 양자암호 네트워크 구조다.

총 580km 전송 거리 안에서 15개 노드(연결 단위)가 KT 내부망과 유심 제조사들을 연결한다.

KT는 "하이브리드 양자암호통신 네트워크 적용으로 양자컴퓨터에 의한 해킹 위협에서도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5G 유심만 제공이 가능할 것"이라며 하이브리드 양자암호통신 네트워크 적용 범위를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