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5G 유심(USIM) 망에 양자암호(QKD)와 양자내성암호(PQC) 및 가상 사설망(VPN)을 통합한 하이브리드 양자암호통신 네트워크를 국내 최초로 적용했다고 26일 밝혔다.

5G 유심 망은 유심 정보를 유심 제조사에서 KT에 등록하거나 휴대전화 가입 절차에서 사용자 인증을 할 때 유심 정보를 전달하는 망을 말한다.
KT에 따르면 양자 컴퓨터 등 기술 발달에 따라 이 망이 해킹 위협에 노출되면 사용자 인증 정보와 같은 주요 데이터가 복제돼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KT가 5G 유심 망에 적용한 네트워크 구조는 양자암호와 양자내성암호-VPN이 융합된 하이브리드 구성으로 KT 외부 인터넷과 내부 전용 회선을 모두 연결하는 양자암호 네트워크 구조다.
총 580km 전송 거리 안에서 15개 노드(연결 단위)가 KT 내부망과 유심 제조사들을 연결한다.
KT는 "하이브리드 양자암호통신 네트워크 적용으로 양자컴퓨터에 의한 해킹 위협에서도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5G 유심만 제공이 가능할 것"이라며 하이브리드 양자암호통신 네트워크 적용 범위를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KT-에릭슨 "저대역 주파수용 멀티무선 기지국 연구 협력"
- KT, 노키아와 6G 초고집적 안테나 기술 검증···7GHz 대역 가능성 확인
- KT, 2024년 매출 26조4312억원 '상장 이후 최대'…영업익 전년비 50.9%↓
- KT, 자사주 약 2500억원 규모 소각
- KT, ‘AX 전략 세미나’ 개최···금융기업 AI 전환 지원
- KT, 업계 최초 친환경 보빈 도입…온실가스 1만2500㎏ 감축
- SK텔레콤 해킹, '선제적 대응'으로 피해 최소화
- SK텔레콤, 해킹 피해 예방 가능한 '유심보호서비스' 적극 알린다
- SK텔레콤, '해킹' 우려에 알뜰폰도 유심보호서비스 제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