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연합훈련 참가 KF-16 2대, MK-82 4발씩 총 8발 오폭
폭격 좌표 잘못 설정했을 가능성
軍, 100분 지나 늑장 발표

 6일 오전 공군이 발사한 폭탄 8발이 오폭으로 경기 포천시 이동면 민가에 떨어져 군인, 소방관 및 관계자들이 현장 수습에 나서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6일 오전 공군이 발사한 폭탄 8발이 오폭으로 경기 포천시 이동면 민가에 떨어져 군인, 소방관 및 관계자들이 현장 수습에 나서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미연합훈련 중 우리 공군이 발사한 폭탄 8발이 사격장 외부 민가와 교회로 떨어져 15명이 중경상을 입는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6일 군 당국에 따르면 이날 오전 경기 포천 승진과학화훈련장 일대에서 실시된 한미연합훈련에 참가한 우리 공군의 KF-16에서 공대지 폭탄 MK-82 8발이 비정상적으로 투하돼 사격장 외부 지역에 낙탄됐다.

비정상 투하된 폭탄은 민가에 떨어져 민간인 5명과 군인 2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부상자는 추가로 통증이나 극심한 심리적 불안감을 호소하며 이송이나 치료를 요청하는 주민들이 있어 공식 집계된 부상자의 수는 오후 들어 15명으로 늘었다.

이들 부상자는 민간 트럭 탑승자와 행인 등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이번 사고로 주택 2동과 교회 1동 등이 일부 파손됐다.

훈련 중인 공군 전투기의 오폭으로 인명 피해가 발생한 것은 초유의 일이다.

2004년 우리 공군의 F-5B 전투기가 충남 보령에서 연습용 폭탄을 오폭하는 사고가 발생한 적이 있지만, 당시에는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

이날 오폭 사고는 KF-16 2대가 일반폭탄인 MK-82 각각 4발을 낙하하는 과정에서 발생했다.

MK-82 폭탄은 건물·교량 파괴 등에 사용되는 폭탄으로 직경 8m·깊이 2.4m의 폭파구를 만들 정도로 위력이 강하며, 위치정보시스템(GPS) 유도 방식이 아닌 무유도 방식으로 투하된다.

사고 원인은 조사해봐야겠지만, 정밀유도무기가 아닌 무유도 일반폭탄이어서 오폭 사고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KF-16 2대가 동시에 오폭 사고를 일으킨 것으로 봐서는 폭격 좌표가 잘못 설정됐을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오폭 사고는 포탄으로 추정되는 물체가 민가에 떨어져 폭발했다고 민간인이 관계 당국에 신고하면서 알려졌다.

군 당국은 오폭 사고가 발생하고 100분이 지나서야 공군 전투기에서 MK-82 폭탄이 잘못 투하됐다고 발표했다.

민가에 떨어진 MK-82 폭탄은 오전 10시 4분에 투하됐는데, 공군은 11시 41분에서야 국방부 출입기자단에 휴대전화 문자 메시지를 통해 관련 사실을 알렸다.

이날 우리 군과 미군은 승진과학화훈련장에서 한반도 유사시에 대비한 정례적 한미연합훈련인 '자유의 방패'(프리덤실드·FS)와 연계한 연합·합동 통합화력 실사격 훈련을 실시했다.

이번 훈련에는 한미 육군과 함께 공군작전사령부 예하 F-35A, F-15K, KF-16, FA-50 등 13대의 전투기가 참가했다. 주한미군 전투기는 훈련에 참가하지 않았다.

공군은 "KF-16에서 MK-82 일반폭탄 8발이 비정상 투하돼 사격장 외부 지역에 낙탄됐다"며 "이 전투기는 공·육군 연합·합동 화력 실사격 훈련에 참가 중이었다"고 밝혔다.

이어 "비정상 투하 사고로 민간 피해가 발생한 데 대해 송구하다. 부상자의 조속한 회복을 기원한다. 피해배상 등 모든 필요한 조치를 적극 시행하겠다"고 강조했다.

군은 폭탄이 잘못 투하됐다는 것을 밝히고 박기완 참모차장을 위원장으로 사고대책위를 꾸려 정확한 사고경위와 피해상황 등을 조사 중이다.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