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대통령이 30일(현지시간) 미국으로 수입되는 외국산 철강·알루미늄 관세를 25%에서 50%로 인상하겠다고 밝혔다. 국내 철강업계는 사실상 대미 수출 중단을 우려하며 비상 대응에 들어갔다.
트럼프는 이날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 US스틸 공장에서 이같은 내용의 관세 인상 방침을 발표했다.
미국은 지난해 3월부터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라 외국산 철강에 25%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트럼프는 이를 6월4일부터 50%로 상향하겠다는 입장이다.
25% 관세만으로도 타격이 컸던 국내 철강업계는 추가 인상이 현실화될 경우 미국시장 판매가 급감할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특성상 영업이익률이 낮아 관세 인상분을 제품가에 전가하기 어려워서다.
국내 업체의 대미 철강 수출 비중은 전체 수출의 약 13%다. 미 상무부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 수입 철강 중 한국산은 9%였다. 올해 1~4월 한국의 대미 철강 수출액은 13억84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0.2% 감소했다.
업계 관계자는 "25%도 버겁던 상황에서 추가 관세는 사실상 수출 차단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산업연구원은 5~6월부터 관세 불확실성의 영향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철강 수출길이 막히자 업계는 현지 생산 확대를 추진 중이다. 현대제철과 포스코는 8조5000억원을 투입해 미국 루이지애나에 일관 제철소 건설을 검토하고 있다. 일본제철은 US스틸 인수를 추진 중이다. 관세 회피를 위한 미국 내 생산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다.
50% 관세가 미국 공급망에도 충격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실제 인상 여부는 불투명하다. 트럼프의 정치적 노림수일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