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합의 불발로 증인·참고인 없이 24~25일 진행
추징금 6억·헌금 2억 내고도 재산 늘어
국힘, 청문회서 강도 높은 검증 예고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가 24일부터 이틀간 진행된다. 김 후보자에 대한 청문회는 여야가 이견을 좁히지 못함에 따라 증인·참고인 없이 진행된다.
김 후보자 청문회 쟁점은 크게 재산 증식, 칭화대 석사 학위, 아빠 찬스 등으로 여야는 검증 사항들을 놓고 격돌할 것으로 보인다.
우선 김 후보자는 2019년 총자산이 마이너스(-) 5억7701만원에서 2025년 1억 5492만원으로 늘어난 것에 관한 의혹이 제기된다.
해당 기간 김 후보자 부부는 연 1억여원의 국회의원 급여를 제외하고는 주목할 만한 소득이 없었는데, 추징금 6억여원, 교회 헌금 2억원 등을 쓰고도 재산이 늘어난 것에 대해 해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김 후보자는 자녀 유학자금 2억원에 대해서는 전처가 부담했고, 다른 자산은 경조사와 2번의 출판기념회 등으로 벌어들인 소득이라고 해명하고 있다.
김 후보자의 중국 칭화대 법학 석사 학위 취득 관련 문제도 쟁점이다. 김 후보자는 2009년 9월부터 2010년 7월까지 민주당 최고위원으로 활동했는데, 칭화대에 재학하면서 석사학위를 받았기 때문이다. 석사 논문에서 탈북자를 '반도자' '도북자' 등으로 표기한 것도 논란이 됐다.
김 후보자는 이에 대해 출입국 기록을 개인적으로 정리해 페이스북에 공개했으나, 국민의힘에서는 '중국에 체류한 총 날짜는 26일에 불과하다'며 의혹을 계속 제기하는 상황이다.
김 후보자가 미국 코넬대에 재학 중인 아들의 고교 시절 입법 추진 활동을 지원했다는 등의 '아빠 찬스' 의혹도 나오고 있다. 다만 김 후보자는 아들이 관련 사항을 대학원서에 활용한 적이 없다는 설명이다.
이번 청문회는 여야 합의 결렬로 증인과 참고인 없이 진행된다.
앞서 민주당은 윤석열 전 대통령을 비롯한 전임 정부 인사를, 국민의힘은 김 후보자의 불법정치자금 공여자 강신성씨와 전처 등을 포함한 증인 명단을 각각 제출하며 기 싸움을 벌이다가 증인·참고인 출석 요구를 위한 법적 시한을 지나며 명단 채택이 불발됐다.
이날 청문회에서 여야 공방이 예상되지만 김 후보자의 인준 통과에는 무리가 없을 전망이다.
현재 민주당을 포함한 범여권 진영의 의석수를 고려하면 국민의힘이 동의하지 않아도 표결로 인준이 가능하다. 총리 인준안 가결 요건은 재적 의원 과반 출석에 출석 의원 과반의 찬성이다.
총리는 장관 등 국무위원과 달리 국회 인준 동의 절차 없이는 대통령이 임명할 수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