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오젠, 2022년 3M 식품안전사업부 인수 후 네오젠코리아 설립
전 세계 140여 개국에 식품·동물 안전 종합 솔루션 제공
검사 시간정〮확도 높인 포트폴리오 소개

식품안전 전문 기업 네오젠코리아가 8일 오전 서울 중구 더플라자 호텔 서울에서 회사의 비전과 포트폴리오를 소개하는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사진은 발표를 하고 있는 손병익 네오젠코리아 아시아태평양 총괄 부사장의 모습이다./사진=김선주 기자 
식품안전 전문 기업 네오젠코리아가 8일 오전 서울 중구 더플라자 호텔 서울에서 회사의 비전과 포트폴리오를 소개하는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사진은 발표를 하고 있는 손병익 네오젠코리아 아시아태평양 총괄 부사장의 모습이다./사진=김선주 기자 

| 스마트에프엔 = 김선주 기자 | 식품안전 전문기업 네오젠코리아가 8일 오전 서울 중구 더플라자 호텔 서울에서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1982년 미국에서 설립된 네오젠은 2022년 미국의 다국적 제조 기업 쓰리엠(이하 3M)식품안전사업부의 인수합병을 통해 글로벌 역량을 한층 강화한 식품·동물 안전 분야 전문기업이다. 3M의 식품안전 사업부를 인수하면서 한국지사 네오젠코리아를 설립했다. 

네오젠은 식품안전 분야를 중심으로 미생물 검사, 병원성 식중독균, 곰팡이 독소, 식품 알레르겐, 약물 잔류물, 식물 질병, 위생 문제 등을 감지하기 위한 건조 배지·진단 키트를 전 세계에 공급하고 있다.

손병익 네오젠코리아 아시아태평양 총괄 부사장은 "현재 140여 개국에 진출했고, 과학과 기술을 기반으로 인류와 동물의 건강 증진과 글로벌 식량 안보를 이끈다는 사명을 실현하기 위해 식품안전·동물안전·유전체학 종합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2년 기준 국내 3만 1000개 식품제조가공업체 중 2만 6000개가 수출을 하고 있다면서 국내 식품안전 분야의 핵심 이슈 공유를 통해 네오젠코리아의 미래 비전을 공유했다.

손 부사장은 "보다 장기적인 식량 안보를 위해 물 보전, 에너지 절약, 폐기물 감축 등 지속 가능성을 고려한 연구개발에 힘쓰고 있다"며 "빠르게 변화하는 식품안전 트렌드에 발맞춰 국내 식품산업의 품질과 안전 수준을 높여가겠다"고 말했다.

박준영 네오젠코리아 지사장이 네오젠코리아의 사업전략을 발표하는 모습이다./사진=김선주 기자 
박준영 네오젠코리아 지사장이 네오젠코리아의 사업전략을 발표하는 모습이다./사진=김선주 기자 

박준영 네오젠코리아 지사장은 "네오젠은 식품의 원재료 관리부터 생산과 유통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 걸쳐 더욱 효과적이고 정밀하게 안전성을 확보하며, 국내외 식품안전 규제에 부합하는 솔루션을 제시한다"고 사업전략을 밝혔다.

이어 "국내에서도 식문화가 다양해지고 세계적으로 K-푸드의 위상이 높아지면서 보다 신속하고 일관된 품질 관리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다. 이 가운데 네오젠은 페트리필름, 등온 증폭 분자 검출 시스템(Molecular Detection System, MDS) 등 검사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고 정확도를 높인 검사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페트리필름은 세계 최초의 미생물 배양용 건조 필름 배지로, 전통적인 배지에 비해 간편하고 신속하게 미생물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페트리필름 플레이트 리더는 페트리필름을 6초 이내에 자동으로 이미지를 분석하고 판독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또 등온 증폭 분자 검출 시스템은 살모넬라균, 리스테리아균 등 다양한 식중독균을 검사하는 검출기로, 60~75분 이내에 정확한 검사 결과를 확인할 수 있고, 검사 수행 단계를 단축시켜 편의성과 경제성을 높인 제품이다.

이광원 고려대 식품공학과 교수(한국식품안전연구원장)는 "식품 소비 트렌드가 다양해지면서 더욱 정밀하고 체계적인 식품안전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며 "장기적인 브랜드 신뢰와 리콜 시 경제적 비용을 고려했을 때 사후 대응보다 사전 예방에 중점을 두고 관리 체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가마다 식품 수출입 환경이 서로 다른 가운데, 상향화된 국제 표준화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어 식품안전 관리가 기업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며 "AI·빅데이터·IoT 등을 활용해 검사 시간을 단축하고, 리스크를 사전에 예측·관리하면서도 국제 기준을 충족하는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