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숙, 논문표절 의혹·자녀 조기유학 등에 발목
보좌진 갑질논란 강선우 임명
국힘 강선우 임명 수순에 "측근보호" 비판···우 수석 “현역의원 중요한 점 아냐"

| 스마트에프엔 = 지원선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제자 논문 표절 의혹 등이 제기된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지명을 철회했다. 보좌진 갑질 논란 등으로 이 후보자와 함께 거취가 도마 위에 올랐던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임명 수순을 밟을 것으로 보인다.
21일 정치권에 따르면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전날 브리핑에서 "이 대통령이 고민 끝에 이 후보자의 지명을 철회하기로 했다"며 "국회는 인사권자인 대통령의 뜻을 존중해 조속히 후속 조치를 진행해 달라"고 밝혔다.
이 후보자는 이재명 정부 첫 교육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됐으나 국회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제자 논문표절과 자녀 불법 조기의혹 의혹 등이 제기되면서 야당은 물론 여당 일부에서도 자신사퇴를 강도높게 요구했다.
게다가 이 후보자는 청문회 과정에서 교육 정책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지는 모습을 보여 교육부 장관 후보자로서 자질 논란이 일기도 했다.
이에 따라 이 대통령은 이 후보자의 거취에 대해 고민을 거듭하다 결국 후보 지명 21일 만에 철회를 결정했다.
이는 이재명 정부 출범 후 첫 장관 후보자 낙마 사례이기도 하다.
반면 이 대통령은 보좌진 갑질 의혹 등으로 국회 보좌진과 야당 등으로부터 강한 사퇴 압력을 받았던 강 후보자는 임명 절차를 밟기로 했다.
우 수석은 '강 후보자는 임명하기로 결정했느냐'는 질문에 "그렇다"며 "(인사청문보고서 채택을 앞둔) 11명 후보자 중 이 후보자 임명만 철회했다"고 말해 이를 확인했다.
이 대통령이 강 후보자를 임명하기로 한 것은 진보 진영과 민주당 보좌진 모임 등이 사퇴를 요구한 점은 부담이지만 사실관계가 명확히 규명되지 않은 측면이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의혹의 내용도 장관직을 수행하지 못할 정도로 낙마할 중대한 결격사유는 아니라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치권에서는 이 대통령이 이 후보자와 달리 강 후보자 지명을 철회하지 않은 건 현역 의원 신분인 점도 고려됐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인사청문회 제도가 도입된 2000년 이래 현역 의원 낙마 사례는 전무하다. 더욱이 강 후보자는 2021년 대선 경선 때부터 이재명 후보 캠프에 합류해 민주당 이재명 1기 지도부 체제에서 대변인을 지낸 친명 인사다.
우 수석은 '강 후보자가 현역 국회의원이란 점을 고려해 낙마 대상에서 제외한 것 아니냐'는 질문에 "후보자가 의원인지 아닌지가 중요한 고려사항이 아니었다는 점은 분명히 확인해 드리겠다"고 선을 그었다.
국민의힘은 강선우 여가부 장관 후보자를 임명하기로 한 것에 대해 "이재명 정부의 오만과 독선이며 국민 눈높이에 대한 정면도전"이라며 "측근보호형 인사농단"이라고 비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