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마트에프엔 = 양대규 기자 | GC녹십자는 WHO PQ(품질 인증) 제품에 대해 3년마다 실시되는 정기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 현장 실사가 서면 심사로 대체됐다고 1일 밝혔다.
GC녹십자에 따르면, 국내 제약사가 WHO GMP 실사를 서면으로 진행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서면 심사를 통해 GC녹십자는 독감백신 ‘지씨플루’와 수두백신 ‘배리셀라’에 대한 GMP 적합성 검증을 받는다. 회사측은 심사에 필요한 모든 자료를 완벽히 갖춘 만큼 무난한 통과가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절차 간소화는 국내 규제기관의 국제적 위상 강화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는 지난 2014년 PIC/S(Pharmaceutical Inspection Co-operation Scheme)에 가입하며 국제 GMP 협의체에 합류했다. 2023년에는 WHO가 지정하는 의약품 규제기관 표준 목록(WHO Listed Authority, WLA)에 등재됐다. 이어 올해에는 세계 최초로 WLA 의약품·백신 분야 전(全) 기능에 이름을 올리며, 규제 선진국 수준의 역량을 공식 인정받았다. 이로써 국내 기업들이 서면 실사와 같은 혜택을 받게 된 것이다.
GC녹십자는 이번 변화로 시간 및 비용 절감 등 실질적 이점과 함께, ‘메이드 인 코리아(Made in Korea)’ 의약품의 글로벌 신뢰도와 브랜드 가치 제고가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이재우 GC녹십자 개발 본부장은 “이번 서면 심사는 GC녹십자의 WHO PQ 인증 제품 확대와 식약처의 국제적 위상 강화가 반영된 결과”라며 “향후 다른 국내 기업에도 긍정적인 선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GC녹십자, 헌터증후군 치료제 ‘헌터라제ICV’ 국내 품목허가 신청
- GC녹십자, 수두백신 '배리셀라주' 2도즈 임상 3상 태국 IND 신청
- GC녹십자, 태국 적십자사와 전략적 MOU
- 네이버, 2025년 2분기 영업이익 5216억원···전년比 10.3%↑
- 지씨셀, 프로엔테라퓨틱스와 고형암 타깃 세포치료제 공동연구개발 계약
- GC케어, AI기반 건강검진 해석 서비스 ‘AI검진리포트’ 출시
- GC녹십자, BMK 2025서 ‘실시간 바이오 공정 모니터링 모델’ 소개
- GC녹십자, 창립 58주년 기념식 개최···허일섭 회장 "불확실성에 맞설 전략 준비해야"
- GC녹십자, 재조합 탄저백신 ‘배리트락스주’ 임상 결과 국제 학술지 '백신'에 게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