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우 171포인트 하락·S&P500 2일간 0.8%↓
알리바바·테슬라는 강세

| 스마트에프엔 = 정윤호 기자 | 뉴욕증시가 이틀 연속 하락 마감했다. 인공지능(AI) 산업에 거품이 끼었다는 불안과 함께 엔비디아와 오픈AI의 초대형 계약 구조를 둘러싼 논란이 시장 전반의 투자 심리에 부담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24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71.50포인트(0.37%) 내린 46121.28에 거래를 마쳤다. S&P500지수는 18.95포인트(0.28%) 하락한 6637.97에, 나스닥종합지수는 75.62포인트(0.33%) 떨어진 22497.86으로 장을 마감했다. 이틀간 S&P500은 0.8% 나스닥은 1% 이상 내렸다.
시장의 하락세에는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전날 “증시가 고평가됐다”는 발언을 내놓은 점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여기에 엔비디아와 오픈AI가 최대 1000억달러 규모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면서 ‘순환출자식 자금 구조’라는 비판이 더해졌다.
엔비디아는 오픈AI에 최대 1000억달러를 투자해 엔비디아 칩이 탑재된 10기가와트(GW) 규모의 데이터센터 건설을 추진하기로 의향서를 체결했다. 초기 100억달러는 내년 하반기 차세대 AI칩 ‘베라 루빈’을 적용한 1GW 규모 데이터센터 구축에 투입될 예정이라고 블룸버그와 로이터가 전했다. 그러나 투자금이 곧바로 엔비디아 제품 구매로 이어지는 구조라는 점에서 밴더 파이낸싱 논란이 불거졌다.
번스타인 리서치의 스테이시 라스곤 애널리스트는 "이번 조치는 분명히 순환 우려를 불러일으킬 것"이라고 지적했다. 시포트 글로벌 증권의 제이 골드버그 애널리스트 역시 "거품 같은 행동을 상징할 수 있다"며 매도 의견을 유지했다. 비스포크인베스트먼트 그룹은 "AI 기술 잠재력은 인정되지만 이런 구조가 업계의 지속성을 위협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엔비디아는 지난해 AI 기업을 대상으로 50건 이상의 벤처 투자에 참여했고 올해는 이를 웃돌 것으로 예상된다. 투자금의 일부가 다시 엔비디아의 고가 GPU 구매로 이어지면서 산업 내 자금 흐름이 지나치게 순환적이라는 비판이 따라붙고 있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도 "일부 AI 스타트업의 기업가치가 비합리적"이라며 "현 상황이 ‘닷컴 버블’을 떠올리게 한다"고 인정했다. 다만 "장기적으로는 AI 인프라에 수조 달러 규모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종목별로는 ▲엔비디아 ▲애플 ▲아마존 ▲알파벳 등 시가총액 1조달러 이상 기술주는 1% 안팎으로 하락했다. 반면 테슬라는 4% 상승했고 알리바바는 AI 투자 확대 계획을 밝히며 9% 급등했다. 캐나다 리튬 아메리카스는 미국 정부가 지분 인수를 추진한다는 소식에 95% 폭등했다. 마이크론은 실적 호조에도 AI 거품 우려로 3% 하락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