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영업손실 5913억원···전기차 배터리 판매 부진과 미국 관세 영향
삼성SDI, 전기차 둔화 직격탄··· 美 ESS로 돌파구 모색

| 스마트에프엔 = 김종훈 기자 | 삼성SDI가 2025년 3분기 연결기준 매출 3조518억원, 영업손실 5913억원을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
매출은 전분기보다 4.0%, 전년 동기 대비 22.5% 감소했다. 다만 편광필름 사업 매각에 따른 일회성 이익 등으로 당기순이익은 57억원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했다.
배터리 부문 매출은 2조82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4.8%, 전년 대비 23.2% 감소했다. 영업손실은 6301억원에 달했다. 전기차용 배터리 판매 둔화와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배터리에 대한 미국 관세정책 여파가 수익성 악화로 이어졌다.
전자재료 부문은 매출 2318억원, 영업이익 388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6.2% 증가했지만 전년보다 12.1% 감소했다.
3분기 주요 성과로 삼성SDI는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과 110GWh 규모의 공급 계약을 체결하는 등 신규 수주를 확대했다고 밝혔다. 또 ESS 중앙계약시장 수주를 확보하며 사업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다.
향후 전략으로는 미국 현지 생산체제 강화와 ESS 시장 공략에 방점을 찍었다. 이달 스텔란티스와 합작한 미국 인디애나주 ‘스타플러스에너지(SPE)’ 공장에서 NCA 배터리 생산을 시작했으며, 내년 4분기 가동을 목표로 LFP 배터리 라인도 구축 중이다. 이를 통해 내년 말까지 미국 내 ESS 배터리 생산능력을 연간 30GWh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ESS 시장에서는 각형 배터리가 안전성과 효율성 측면에서 주목받고 있다. 비(非)중국계 기업 가운데 유일하게 각형 배터리를 공급할 수 있는 삼성SDI는 이 강점을 기반으로 미국 시장 점유율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하이니켈 배터리와 LFP·미드니켈 배터리 수주를 병행해 시장 점유율을 높이는 한편, 탭리스 원통형 배터리 공급도 추진해 미래 성장기반을 강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