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9년 포토폴리머 필름 완성차에 적용 목표
기차·항공기·우주항공용 디스플레이 활용 확장도 주목할 점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LG화학 전자소재사업부장 고경덕 상무(왼쪽)가 자이스의 슈테판 회퍼 사업개발총괄(오른쪽)과 포토폴리머 필름 사업협력 계약을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LG화학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LG화학 전자소재사업부장 고경덕 상무(왼쪽)가 자이스의 슈테판 회퍼 사업개발총괄(오른쪽)과 포토폴리머 필름 사업협력 계약을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LG화학

| 스마트에프엔 = 김종훈 기자 | LG화학이 독일 광학 기업 자이스(ZEISS)와 차량용 홀로그래픽 윈드쉴드 디스플레이(HWD) 핵심 소재 공급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HWD는 차량 전면 유리를 디스플레이로 활용해 주행 정보, 내비게이션, 엔터테인먼트 등 콘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기술이다. 기존 헤드업 디스플레이(HUD)가 한정된 영역에 정보를 표시하는 데 그쳤다면, HWD는 운전자의 넓은 시야각을 확장했고, 높은 몰입감을 구현한다.

이번 계약을 통해 LG화학은 자이스에 포토폴리머 필름을 공급한다. 자이스는 이를 기반으로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HOE)를 제작해 유리에 합착한다. 양사는 이 기술을 2029년 완성차 OEM 공급 단계까지 상용화할 계획이다.

LG화학이 개발한 실록산계(실리콘과 산소로 이루어진 고분자 화합물) 포토폴리머 필름은 광학 효율과 열적 안정성을 확보했다. 고분자 합성, 액상 조성, 정밀 코팅 등과 관련해 총 150건 이상의 특허를 취득했다.

포토폴리머 필름은 HWD 외에도 AR HUD, 홀로그래픽 카메라 등 고해상도 광학 소자에 적용이 가능하다. 때문에 향후 기차·항공기·우주항공용 디스플레이 등으로의 확장성도 주목받고 있다.

LG화학 신학철 부회장은 “자이스와의 협력은 소재 공급을 넘어 광학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이라며 “차별화된 광학 소재 기술로 미래 모빌리티 디스플레이 혁신을 주도하겠다”고 말했다.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LG화학 전자소재사업부장 고경덕 상무(왼쪽에서 3번째), 자이스의 슈테판 회퍼 사업개발총괄(왼쪽에서 4번째) 등 양사 경영진들이 사업협력 계약을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LG화학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LG화학 전자소재사업부장 고경덕 상무(왼쪽에서 3번째), 자이스의 슈테판 회퍼 사업개발총괄(왼쪽에서 4번째) 등 양사 경영진들이 사업협력 계약을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LG화학

한편, 협약식은 서울 여의도 LG화학 트윈타워에서 열렸다. 자이스의 슈테판 회퍼 사업개발 총괄, 빅토르 슈츠 파트너십 전략 총괄, LG화학 고경덕 전자소재사업부장 등이 참석했다.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