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품질 데이터 연계로 효율 혁신 모색

| 스마트에프엔 = 이장혁 기자 |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4일 국방기술품질원(기품원)과 공동으로 ‘회전익항공기 결함 예측 AI 모델 개발 발표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5일 밝혔다.
KAI 본사 회전익동에서 열린 행사에는 기품원 장인기 항공센터장, KAI 김형수 품질보증실장, 이정우 품질경영실장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KAI와 기품원은 지난 6월부터 10월까지 5개월간 항공기 생산품질 데이터를 기반으로 AI 결함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 심층적 상호 검증을 통해 정합성을 입증했다.
행사는 AI 기반 품질결함 예측 기술 개발 성과를 공유하고, 양산 항공기 적용과 품질 데이터 관리절차 발전 방향을 집중 논의하는 자리였다.
이번 협업 연구는 전 주기 품질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순환·분석해 품질 수준을 정량화하는 지표를 도출했다. 범용적으로 사용되던 전수검사의 한계를 AI 학습 기반의 결함예측 모델로 극복해, 품질관리 효율과 항공기 가동률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양한 R&D 사업별 품질 수준 평가 기준을 수립해 항공 무기체계별 품질 수준을 객관적으로 비교·분석할 기반도 마련했다.
KAI 관계자는 “현장 품질 데이터를 AI 기술에 성공적으로 접목하여 실제 활용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밝혔으며, 기품원은 “AI 기반 기술이 현장에 안착하도록 연구를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KAI와 기품원은 AI 예측기술을 단계적으로 고도화해 앞으로 다양한 무기체계와 품목에 적용영역을 넓혀, 민관 협력 품질관리 체계의 선순환 모델을 구축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