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유동성 확대·금리 인하 기대 속 ‘은 투자 열풍’ 재점화
은행 실버바 품절 사태 속 전문가들 “추가 상승 가능성”

사진=Freepik
사진=Freepik

| 스마트에프엔 = 정윤호 기자 | 은값이 다시 최고가를 기록하며 개인과 기관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상장지수펀드(ETF)와 실버뱅킹 등 관련 상품으로 자금이 몰리며 ‘은 투자 열풍’이 재점화되는 분위기다.

1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 13일 ‘KODEX 은 선물(H) ETF’는 전 거래일 대비 5.79% 상승한 9320원으로 마감해 상장 이후 최고가를 새로 썼다. 기초자산인 은 선물(12월 인도분) 가격이 트로이온스당 54달러를 돌파하며 한 달 만에 최고치를 경신한 것이 직접적인 상승 요인으로 꼽힌다. 신한 레버리지 은 선물은 11.58%, 미래에셋 레버리지 은 선물은 11.44% 급등했다.

실버뱅킹 수요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신한은행에 따르면 지난 12일 기준 실버뱅킹 잔액은 1370억원으로 이달 들어서만 84억원이 늘었으며 계좌 수는 2만4271개로 같은 기간 7395개 증가했다. 지난해 말과 비교하면 잔액은 207.8%, 계좌 수는 43.8% 늘었다. 신한은행은 현재 국내에서 유일하게 실버뱅킹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실물 은 투자에서도 열기가 이어지고 있다. 은값 급등으로 인해 지난달 20일 국민·신한·우리·농협은행 등 주요 시중은행은 실버바 판매를 중단했다. 한국금거래소는 공급 부족을 이유로 내년 1월 1일까지 납품을 일시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금융권은 올해 들어 은값이 70% 이상 상승했음에도 추가 상승 여력이 충분하다고 보고 있다. 지난달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내년 은 가격 목표치를 기존 44달러에서 65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BoA는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의 기준금리 인하로 실질금리가 하락하면서 금과 은이 인플레이션 헤지수단으로 다시 부각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금과 은은 이자를 지급하지 않는 자산이기 때문에 금리가 내려갈수록 투자 매력이 높아지는 특징이 있다.

글로벌 유동성 확대 기대도 은값 상승을 지지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지난달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은 양적긴축을 수개월 내 종료할 가능성을 시사했으며 중국 정부 역시 지급준비율을 0.5%포인트 인하하고 장기 유동성 1조위안(약 193조원)을 공급하기로 했다.

이와 관련해 대신증권 최진영 연구원은 “세계 유동성이 20% 이상 증가했던 2020년 국제 은값은 100% 이상 뛰었다”며 “이번에도 비슷한 흐름이 재현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금은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커질 때 상승하는 반면 은은 유동성이 팽창할 때 오른다”며 “각국 중앙은행의 정책금리 변화에 은값이 약 18개월가량 후행하는 경향을 고려하면 2027년 6월까지 상승세가 이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한편 시장 전문가들은 단기적으로 은값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도 경고하고 있다. 글로벌 경기 둔화와 금리 조정 속에서 은이 ‘안전자산’과 ‘산업금속’의 성격을 동시에 갖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실질금리 하락과 유동성 확대가 지속될 경우 은값 상승세는 중장기적으로 유지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키워드
#은값 #은 가격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