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는 피지컬 AI 테스트베드···지능형 센터·로봇 자동화·수배송 최적화 추진

'피지컬 AI, 시작은 물류 AI부터' 세미나에서 CJ대한통운 구성용 TES자동화개발담당이 발표하고 있다. /사진=대한통운
'피지컬 AI, 시작은 물류 AI부터' 세미나에서 CJ대한통운 구성용 TES자동화개발담당이 발표하고 있다. /사진=대한통운

| 스마트에프엔 = 김종훈 기자 | CJ대한통운은 지난 24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물류산업 AI혁신을 위한 국회 세미나'에 참석해 피지컬 AI를 통한 물류 AX 전략을 발표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피지컬AI 시작은 물류 AI부터'를 주제로 열렸으며, 더불어민주당 손명수·정진욱·한민수 의원이 공동 주최하고 한국통합물류협회가 주관했다.

이날 발표에 나선 CJ대한통운 구성용 TES자동화개발담당은 '넥스트 레벨 물류, 피지컬AI로 가다'를 주제로, 실제 물리 환경을 인지·판단·행동까지 수행하는 피지컬 AI가 향후 물류센터 자율 운영 체계를 구현할 핵심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기존 정보 시스템 중심의 DX를 넘어, 현장에서 움직이는 설비·로봇·차량까지 AI로 통합 제어하는 단계로 진입해야 한다는 취지다.

그는 물류 산업이 매일 다양한 형태의 상품을 처리하며 방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만큼, 피지컬 AI 기술을 빠르게 개발·적용할 수 있는 최적의 테스트베드라고 강조했다. 피지컬 AI 기반 물류 AX가 본격화되면 물류 효율화는 물론, 제조·유통 등 물류에 의존하는 전 산업의 비용 절감과 공급망 경쟁력 강화, 배송 서비스 고도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내놨다.

CJ대한통운이 제시한 물류 AX 전략의 축은 ▲AI 기반 의사결정을 통한 지능형 물류센터 구축 ▲작업 효율·정확도 향상을 위한 물류공정 로봇 자동화 ▲자율주행·로봇 기술을 활용한 수배송 네트워크 최적화 등 세 가지다.

한편 CJ대한통운은 AI 기반 물류 기술 생태계 조성을 위해 물류 AI 얼라이언스도 확대하고 있다. 로보티즈, 레인보우로보틱스 등 로봇 하드웨어 기업과 에이딘로보틱스(로봇핸드) 등과 협업을 이어오고 있으며, 최근에는 로봇의 두뇌 역할을 하는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을 위해 리얼월드AI와 지분 투자 및 전략적 협력 관계를 구축했다.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