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의, 국내 451개 기업 조사…기업 규모별·업종별 엇갈려
28일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기업 451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우리 기업의 미래 신사업 현황과 대책 조사’를 한 결과 기업의 61.9%가 ‘현재 주력사업의 미래가 유망하다’고 답해 ‘유망하지 않다’고 답한 38.1%에 비해 높게 집계됐다.
기업규모별, 업종별로 차이를 보였다. 응답기업 중 대기업과 중견기업은 ‘주력사업의 미래가 유망하다’라고 답한 비율은 각각 64.8%, 64.7%인 반면 중소기업은 평균보다 낮은 47.4%에 그쳐 규모가 작은 기업일수록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현재 주력사업의 미래가 유망하지 않다고 보는 이유를 묻는 질문에 기업의 61.6%가 ‘이미 시장이 포화상태다’라고 답해 월등히 높은 비중을 보였다.
이어 ‘시장 자체가 크지 않다’(16.3%), ‘전문인력, 제도 등 제반 인프라 미흡하다’(11.0%), ‘유망하지만 경쟁기업에 기술력이 밀린다’(10.5%) 등이 뒤를 이었다.

다만 미래 신사업에 대한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는 기업은 절반에 그쳤다. 현재 주력사업의 미래가 유망하지 않다고 응답한 기업을 대상으로 ‘신사업 발굴 위해 대책을 마련하고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응답기업의 52.3%는 ‘새로운 사업을 모색 중’이라고 답했지만 절반에 가까운 47.7%의 기업은 ‘뚜렷한 대책이 없거나 모른다’고 응답했다.
대책을 마련 중이라고 응답한 기업들이 가장 선호하는 전략은 ‘신기술을 활용한 신규 사업 모색’(34.9%)이었다. ‘기존 사업을 유망산업으로 대체 전환’이라는 응답한 기업은 17.4%였다. 기존 주력사업을 유지하면서 신기술을 접목해 보다 안정적으로 새로운 수익원을 확보하려는 기업들이 의 경향을 반영한 것이다.
기업들이 준비하고 있는 신사업 분야로는 첨단산업 분야가 두드러졌다. ‘AI·로봇’(14.2%)을 꼽은 기업이 가장 많았으며 ‘반도체’(12.2%), ‘이차전지·배터리’(10.9%), ‘차세대에너지’(8.2%), ‘자동차’(6%), ‘신소재·화장품’(5.8%), ‘제약·바이오’(4.4%) 등 첨단산업 분야 순이었다.
이외에도 금융서비스(3.3%), 조선(3.3%), 콘텐츠·문화(3.1%), 전자·디스플레이(2.9%), IT서비스(2.4%), 항공·우주(1.8%) 순으로 나타났다.
미래 신사업 분야에서 가장 취약한 부분을 ‘제도 및 정책지원 미흡’이라고 답했다. 이외에도 ‘전문인력 부족’(24.4%)과 ‘기술력 부족’(17.7%), ‘자금력 부족’(16.9%) 등 순이었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산업 패러다임이 재편되고 불확실성이 증대되면서 기업들이 인식하는 현재 주력사업의 미래 전망이 밝지만은 않다”며 “전 세계적으로 미래 먹거리를 선점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해지는 상황에서 우리 기업들도 안정적인 수익원을 창출할 수 있도록 중장기 산업전략을 모색하는데 민관이 머리를 맞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신종모 기자 jmshin@smartfn.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