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뱅크, 작년 인뱅 3사 중 목표치 달성 유일
토스뱅크, 기존 목표 달성 못했지만…32% '훌쩍'
케이뱅크, 30%조차 넘지 못하고…28.1%에 그쳐
금융위원회가 구랍 27일 발표한 중‧저신용자 대출 확대계획(2021년 5월) 이행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말 기준 케이뱅크‧카카오뱅크‧토스뱅크 등 국내 인터넷은행 3사의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은 ▲토스뱅크 32.3% ▲카카오뱅크 30.1% ▲케이뱅크 28.1% 순으로 집계됐다.
카카오뱅크와 토스뱅크는 새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 목표를 지난해 이미 달성해 관련 수치의 관리가 수월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추가로 중‧저신용자 대출 공급을 확대할 필요 없이 관련 수치가 감소하지 않도록 현 수준만 유지해도 되기 때문이다.
카카오뱅크의 2023년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 목표치는 30%였으며 지난해 1분기 25.7%, 2분기 27.7%, 3분기 28.7%로 꾸준히 성장해오다 11월 말 30.1%로 목표치를 넘겼다. 구랍 말에는 전달 대비 0.3%p(포인트) 오른 30.4%로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로써 카카오뱅크는 지난해 인터넷은행 중 유일하게 기존 목표치를 달성한 인터넷은행이 됐다. 이에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중·저신용자 금융 지원 확대의 정책 취지에 깊이 공감해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중·저신용자 대출을 역대 최대로 공급했다”고 자평했다.
토스뱅크는 지난해 3분기에 들어서면서 중‧저신용자 대출 공급 전략을 틀었다. 본래 토스뱅크는 출범 이후 한 분기도 놓치지 않고 제1금융권 은행 중 가장 높은 중‧저신용 대출 비중을 이어가 ‘포용금융’ 대표 은행으로 자리매김했다. 이를 바탕으로 지난해 44%의 중‧저신용 대출 비중 목표치를 제시, 지난해 1분기까지 42.06%의 비중으로 목표 달성의 ‘청신호’를 보였으나, 2분기 38.5%, 3분기 34.46% 등 두 분기 연속 하락세를 기록했다. 11월말에는 32.3%까지 떨어져 당초 목표치와 11.7%p 차로 벌어졌다.
그러자 토스뱅크는 돌연 포용금융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건전성 관리를 최우선순위로 두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당시 토스뱅크는 “중장기적 관점에서 안정적으로 중‧저신용자에 대한 포용금융을 지속하기 위해 건전성 관리에 우선순위를 둘 필요성이 있다는 내부 판단이 있었다”며 향후 무분별한 대출을 줄이고, 실질소득과 상환능력이 검증된 중‧저신용자에 집중 공급하겠다는 방침을 전했다.
다만 토스뱅크는 경쟁사 대비 10% 이상 높았던 중‧저신용 대출 비중을 보유했던 터라 금융당국이 제시한 ‘30% 이상’은 이미 확보한 상황이다. 그러나 단기간 무리하게 중‧저신용 대출을 늘려온 부작용으로 건전성 지표가 경쟁사 대비 크게 악화됐다.
각 은행의 경영공시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대출채권 연체율은 ▲토스뱅크 1.18% ▲케이뱅크 0.90% ▲카카오뱅크 0.49%로 집계됐다. 토스뱅크의 연체율은 전분기(1.56%)보다 0.38%p 개선됐음에도 인터넷은행 3사 중 가장 높았다. 올해 토스뱅크는 현재의 포용금융 수준을 유지하면서 건전성 지표를 끌어올리는 게 주요 과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케이뱅크는 지난해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을 1분기 23.9%, 2분기 24.0%, 3분기 26.5%로 개선시켜왔다. 하반기에만 세 차례 대출금리를 인하하며 목표치 달성에 박차를 가했지만 11월말까지도 28.1%의 비중으로 목표치(32%)까진 도달하지 못했다. 게다가 금융당국이 새로 제시한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 목표를 홀로 달성하지 못하고 있어, 당분간 중·저신용자 대출 확대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금융당국의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 목표 일원화는 인터넷은행 3사의 목소리가 반영된 정책으로 평가된다. 금융위는 이 같은 계획을 발표하며 “카카오뱅크‧토스뱅크‧케이뱅크 등 인터넷전문은행과 협의를 거쳐, 건전성을 관리하면서 안정적으로 중‧저신용자 대출 공급을 지속할 수 있도록 2024~2026년 중‧저신용자 대출 공급 목표를 평균잔액 30% 이상으로 설정했다”고 말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건전성의 경우 토스뱅크가 3분기에 명시적으로 ‘지속 가능한 포용금융을 위해 건전성 관리를 우선하겠다’고 말했지만 사실 인터넷은행 3사에 모두 해당되는 얘기”라며 “최근 금융권에 건전성 또는 리스크 관리가 강조되고 있어 금융당국에서도 이 부분을 감안한 것 같다”고 말했다.

- 인뱅 중‧저신용 금리 전쟁…카카오뱅크 '최저', 토스뱅크 '최고'
- 토스뱅크, ‘위태로운’ 중‧저신용 대출…‘카뱅 3배’ 연체율로 이어졌나
- [단독] 토스뱅크, 케이뱅크보다 여신 2.6조 적은데…이자수익 341억 많았다 왜?
- 카카오뱅크, 3분기 누적 순이익 2793억원…전년比 38% ↑
- 케이뱅크, 3분기 당기순이익 132억원…전년比 48.4%↓
- '중신용대출의 제왕' 카카오뱅크, 또 금리 인하…최저 연 4.05%
- 케이뱅크, 중저신용자 대출금리 최대 3.3%p 인하
- [단독] 토스뱅크, 인뱅 중‧저신용 최저·평균금리 '제일 높다'
- [단독] 토스뱅크, 신용대출 최저금리 0.07%p 인하했지만…여전히 ‘최고’ 수준
- 케이뱅크 "9월 중저신용 금리, 가장 저렴했다…타사比 최대 2% 이상 낮아"
- 토스뱅크, 3분기 건전성·중저신용 성적표 인뱅 '꼴찌'
- [실험실] 입사 2달 직장인 인뱅 신용대출 실행해보니…토스뱅크 가장 쉬웠다
- 최우형 케이뱅크 신임 은행장 취임...“제2도약 이뤄낼 것”
- 토스뱅크 "건전성 관리를 우선순위에…지속가능한 포용금융 이어갈 것"
- "멋지다 카카오뱅크"...중저신용 목표치 달성 '초읽기'
- '건전성 정조준' 토스뱅크, 연체율 0.38%p 낮췄다
- 카카오뱅크, 중신용대출 금리 0.50%p 인하…최저금리 연 4.07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