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장 찾아 음극재 공급망 구축 현황파악 및 애로사항 청취
강인선 차관은 이차전지 핵심 소재인 음극재 공급망 구축 현황을 파악하고 애로사항을 청취하기 위해 포스코퓨처엠 공장을 방문했다고 밝혔다. 미국 정부의 향후 배터리 산업 공급망 관련 정책이 주목받고 있기 때문이다.

강인선 차관은 글로벌 핵심광물 공급망 확보와 다변화를 위해 2022년 6월 출범한 핵심광물안보파트너십(MSP) 의장(2024년 7월 1일부터 1년간)을 맡고 있다.
MSP는 현재 14개국(대한민국, 미국, 영국, 일본, 캐나다, 스웨덴, 프랑스, 호주, 핀란드, 독일, 노르웨이, 이탈리아, 인도, 에스토니아)과 EU가 참여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미국에 이어 1년간 의장국으로 활동하면서 현재 진행 중인 MSP 시범사업이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회원국 간 협력을 주도할 계획이다.
국내 유일의 흑연계 음극재 생산기업인 포스코퓨처엠은 생산량 기준으로 중국을 제외하면 유일한 세계 10위권에 있다. 최근에는 저가 공세를 펴고 있는 중국 기업들에 밀려 가동률이 급락해 10위권도 위태롭다.
이에 국내 음극재 국산화는 물론 글로벌 공급망 다변화를 위해서 포스코퓨처엠 음극재 사업의 지속적인 유지·발전이 필수적이라는 설명이다.
음극재의 글로벌 공급망 확보가 시급한 상황에서 외교부는 향후 MSP 활동 등을 통해 음극재산업 육성을 위한 구체적인 글로벌 협력방안을 이끌어낼 것으로 기대된다.
김동하 기자 rlaehdgk@smartfn.co.kr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