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21년 첫 선정에 이어 연임 확정…기술 리더십·풍부한 경험 등 높은 평가
LG전자는 최고기술책임자(CTO) 부문에서 근무 중인 이기동 박사는 최근 미국통신산업협회(ATIS)가 주도하는 6G 기술단체 넥스트 G 얼라이언스(Next G Alliance)의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s) 분과 워킹그룹 의장으로 최종 선정됐다고 20일 밝혔다.
LG전자가 확보하고 있는 기술 리더십과 의장사로서 글로벌 참여사들의 협업을 이끌어 온 지난 2년간의 경험이 두루 높게 평가받은 결과다.

NGA는 지난 2020년 창립돼 미국 3대 이동통신사를 비롯해 통신장비, 반도체 등 다양한 분야에서 100여개 업체가 6G 기술 주도권 선점을 위해 참여하고 있다.
LG전자가 맡은 애플리케이션 분과 외에도 기술(Technology), 국가 로드맵(National 6G Roadmap) 등을 포함해 총 6개 분과로 구성돼 있다. LG전자 이외에도 퀄컴, 노키아, 에릭슨, 마이터 등 글로벌 통신기술을 선도하는 업체와 기관들이 NGA의 의장사를 맡았다.
6G는 자율주행, 모빌리티, 메타버스, 스마트홈, 스마트팩토리 등 LG전자가 미래 먹거리로 육성하고 있는 다양한 분야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다.
6G 기술은 오는 2025년경 표준화 논의를 시작으로 2029년께 상용화를 예상하고 있어 선행 연구개발 단계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며 기술력을 축적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앞서 LG전자는 2019년 카이스트(KAIST)와 국내 최초 6G 산학협력 연구센터인 ‘LG전자-KAIST 6G 연구센터’ 설립을 시작으로 국내외 우수 대학과 산학 협력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6G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독일 프라운호퍼 연구소,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키사이트(Keysight Technologies Inc.) 등 국내외 연구기관과 선행 시험기기 업체들과도 폭넓게 협업하고 있다.
지난해 9월에는 독일 베를린에 있는 프라운호퍼 하인리히-헤르츠 연구소에서 6G 테라헤르츠 대역을 활용해 도심 셀 반경 커버리지 이상인 실외 320미터(m) 통신 전송에 성공하는 등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다.
김병훈 LG전자 CTO 부사장은 “6G 기술은 인공지능, 메타버스, 로봇, 도심항공(UAM) 등 미래 신사업 전반에 혁신을 가속화하는 게임체인저 역할을 할 것”이라며 “철저한 선행 연구개발(R&D)을 통해 표준 기술을 선점하고 미래 기반기술 분야의 리더십을 확보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신종모 기자 jmshin@smartfn.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