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수립 중인 장기 송·변전 설비계획에 따르면 원전과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확대, 전력수요 증가, 발전력과 수요의 집중 지역 차이 등으로 인해 송·변전 설비 보강이 필요한 실정이다.
하지만 사회적 수용성이 문제다. 설비의 적기 건설은 어려워지고 있으며 전력계통 운영도 어려운 상태다.
더군다나 원전과 신재생에너지 설비가 집중된 호남권은 봄과 가을처럼 전력 소비가 적은 시기에는 남는 전력을 전력 수요가 많은 수도권으로 전송해야하는데 두 지역을 연결하는 전선로가 부족한 것이 문제다.

산업부는 4월에서 5월까지 호남과 경남 지역의 태양광 설비 전력 생산을 중단하거나 감소시키는 출력제어도 검토했다.
전력수요가 적은 봄에는 해당 지역에 전력이 남아돌기 때문에 과잉 공급으로 블랙아웃(대정전)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천영길 에너지정책실장은 "정부는 전력망 투자를 최적화하고 송·변전 설비 건설이 적기에 이행될 수 있도록 그간의 패러다임을 혁신적으로 전환하는 새로운 정책을 조만간 수립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논의된 내용은 추후에 전기위원회 심의를 통해 확정될 예정이다.
박재훈 기자 isk03236@smartfn.co.kr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