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보다 많은 원전 활용 필요"
3일 비롤 사무총장은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산업통상자원부와 개최한 '한·IEA 공동선언문' 발표 기자회견에서 청정에너지 확대를 강조하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원은 기상 조건에 크게 좌우되고 지리적 조건 때문에 부국과 빈국이 존재한다"며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수단으로 원전 확대 필요성을 역설했다.

CFE이니셔티브란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 재생에너지뿐 아니라 원자력, 수소 등 무탄소 에너지원을 함께 이용하자는 취지의 캠페인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해 10월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CFE이니셔티브를 주장한 바 있다.
우선 비롤 사무총장은 기후 위기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 원유와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의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재생에너지 생산과 전기차 수요도 함께 확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비롤 사무총장은 "올해 전 세계 발전 증가량의 85%가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할 것"이라며 "태양광 발전의 가격이 계속 내려가고 있기에 가능한 일"이라고 설명했다.
청정에너지에 대한 투자도 늘고 있다.
비롤 사무총장은 "올해 전 세계 에너지 투자가 처음으로 3조원을 넘을 것"이라며 "이 중 2조원이 청정에너지에 투자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10여년 전에 비해 청정에너지원에 대한 투자가 2배 늘어난 것이라는 설명이다.
그는 환경론자 등 일각에서 제기하는 원전의 위험성에 대한 우려에는 "세계가 당면한 기후, 에너지안보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원전이라는 에너지원을 배제할 여유가 없다"고 했다.
이어 "한국의 현재 상황으로 볼 때 에너지나 기후 목표 달성을 위해 원전을 보다 많이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한국의 원전 기술이 세계적이라 평가한 그는 "한국이 국내에 원전을 건설하지 않는다면 왜 자국에서 하지 않는 것을 수출하려 하느냐는 질문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며 "에너지 정책을 원전 중심으로 수정한 것이 원전 수출에도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고 했다.
IEA는 지난해 발표한 '넷제로 로드맵'에서 2050년까지 전 세계 원전 용량을 2배 이상 늘려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를 위해 IEA는 기존 원전의 수명 연장과 함께 신규 원전 건설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또한 소형 모듈원전(SMR) 등 새로운 기술에 대한 혁신이 필요하다 제안하기도 했다.
비롤 사무총장은 "한국이 청정 기술 제조를 강화하려면 리튬, 니켈, 흑연과 같은 핵심광물의 안정적인 공급이 필수적"이라며 "안정적인 공급을 보장받기 위한 투자, 혁신, 재활용 및 국제협력을 포괄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김동하 기자 rlaehdgk@smartfn.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