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마트노조는 MBK를 상대로 홈플러스 익스프레스(슈퍼마켓) 분할 매각 저지 투쟁을 지속하고 있다. 경기도 안산에 있는 안산선부점과 충북 청주의 동청주점을 폐점하면서 마트노조는 사측이 지금까지 폐점 또는 자산유동화(매각)를 통보한 점포가 모두 11개로 늘어났다며 거세게 반박했다. 

17일 홈플러스는 전날 사내망을 통해 "안산선부점과 동청주점의 임대 계약기간이 만료돼 영업을 종료한다"고 밝혔다.

홈플러스는 직원들에게 "실적 부진 장기화로 영업손실이 누적돼왔다"며 임대계약 종료 시점에 맞춰 안산시 단원구 안산선부점은 내년 말까지, 청주시 청원구 동청주점은 2026년 상반기까지만 각각 운영할 계획이라고 전달했다. 또 "두 개 점포 직원은 100% 고용을 보장해 가능한 인근 점포로 재배치하겠다"고 덧붙였다.

홈플러스 강서 본점 /사진=홈플러스
홈플러스 마트노조는 이날 성명을 통해 "동청주점은 점포별 매출 순위에서 하위권에 속하지 않는다"며 "(대주주인) MBK파트너스는 홈플러스의 장기적 전망보다 오로지 펀드 투자자들에게 더 많은 배당을 주기 위해 홈플러스를 '팔기 좋은 상태'로 만들고 있다"고 규탄했다.

앞서 홈플러스는 올해만 해도 부산 서면점·서울 목동점·안산선부·동청주점 ·내당·부산반여·광주계림·순천풍덕·부천소사점까지 모두 11개의 점포를 임대 기간 종료에 따른 폐점 또는 자산 유동화를 하겠다고 직원들에게 통보했다. 

노조는 "지금까지 사측의 결정으로 안산선부점과 동청주점을 포함해 모두 11개 점포가 폐점이나 매각을 앞두고 있으며 오는 2027년과 2028년에는 각각 8개 점포의 임대 계약기간이 종료된다"며 "며 "홈플러스가 덩치를 줄이기 위해 계속 폐점을 이어간다면 대량 실업 사태로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에 대해 홈플러스 관계자는 “노조에서 이야기하는 패점 점포는 11개인데 그 중 7개가 재입점할 계획이다. 이부분에 대해서는 오해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홈플러스측이 충분한 기간을 두고 영업을 유지하고 재입점한다고 하지만 제대로 된 기한을 명시하지 않아 ‘MBK가 홈플러스를 산산조각 내고 있다’고 주장한다. 

사모펀드(PEF) 운용사 MBK파트너스는 지난 2015년 9월 7조2천억원을 투자해 홈플러스를 인수했다. 블라인드 펀드로 2조2천억원을 투입 나머지는 홈플러스 명의로 5조원을 대출받아 인수자금을 채웠다. 그 후 지금까지 홈플러스 점포 20여개를 팔아 4조원에 가까운 빚을 갚은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는 "MBK와 경영진이 단기 이익 추구에만 몰두하지 않고, 기업의 지속 가능성과 직원들의 고용 안정을 최우선으로 하는 경영을 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며 "국가가 홈플러스 경영 상황을 면밀히 조사하고, 필요하면 적극적인 개입을 통해 국민의 삶을 보호할 것을 요구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오는 25일 오후 2시 마트노조는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4간담회실에서 '사모펀드 MBK의 홈플러스 밀실 분할매각 비판 지속 가능한 대안 모색 국회토론회'를 할 예정이다.

홍선혜 기자 sunred@smartfn.co.kr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