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롯데면세점은 업계최초로 다이궁(중국인 보따리상)과의 거래를 전면 중단했다. 고강도 체질 개선 처방에 나선 것은 손실 누적에 따른 존폐의 갈림길에서 매출을 포기하고서라도 수익성을 되살리겠다는 의지가 실린 것으로 풀이된다.

13일 면세업계에 따르면 롯데면세점은 지난해 말 거래 규모가 큰 주요 중국인 보따리상들에게 이달부터 면세품 판매를 중단하겠다고 통보했다.

중국인 보따리상은 한국에서 면세품을 헐값에 대량 구매해 중국과 동남아시아 등에 유통하는 보따리상으로 대부분 중국인이다.

보따리상은 지난 2017년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를 둘러싼 갈등으로 중국 정부가 경제보복의 하나로 자국 단체관광객의 한국 입국을 금지한 뒤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했다.

인천공항 면세점. / 사진=홍선혜 기자 
그 후 코로나19로 입출국 관광객의 발이 거의 끊기면서 이들의 입지는 더 커졌다. 사실상 국내 면세업계 매출 규모는 이때부터 중국인 보따리상이 좌지우지했다고 해도 틀린 말은 아니다. 

국내 면세업계는 이들에게 40~45% 수준의 혜택을 부여하면서 그 동안 치열한 출혈 경쟁을 지속해왔다. 이러한 영업 행태가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한 면세점들은 상호 합의로 지난 2023년 1월부터 점진적으로 중국인 보따리상 수수료를 인하해 현재 35% 안팎까지 낮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수료율이 수익의 마지노선인 20%보다 여전히 높아 면세점들은 손실을 봐야했다. 롯데와 신라·신세계·현대 등 면세업계 주요 4사의 지난해 1∼3분기 누적 영업손실 합산액만 1355억원이다. 4분기까지 포함한 연간 영업손실액은 2000억원 안팎에 이를 것으로 점쳐진다.

업계에서는 롯데면세점이 선제적으로 중국인 보따리상과의 거래를 중단하기로 한 것도 바닥까지 떨어진 수익성을 끌어올려야 한다는 절박함이 반영된 것이라고 보고 있다.

지난해 기준 롯데면세점의 연 매출에서 중국인 보따리상이 차지하는 비중은 대략 50% 수준이다. 중국인 보따리상과 거래를 끊으면 매출 급감은 불가피하다. 하지만 이를 감수하고서라도 수익성을 살려내야 한다는 게 내부에서 공유하는 위기의식이다.

중국인 보따리상과의 거래 중단은 지난해 12월 롯데면세점의 구원투수로 등판한 김동하 대표가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는 면세업계 정상화와 체질 개선 노력의 일환이다.

롯데면세점은 중국인 보따리상의 빈자리를 내국인 관광객과 외국인 개별 관광객, VIP 고객 등으로 채우기 위한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고민하고 있다.

지난해 폐지했던 마케팅 부문을 복원하고 여기에 마케팅전략팀과 자유 여행객(FIT) 마케팅팀, 여행사 마케팅팀 등을 둬 역할을 세분화했다. 정확한 수요 예측을 바탕으로 상품 운영을 효율화하고자 운영혁신부분도 신설했다. 다른 면세점들은 중국인 보따리상에 대한 매출 비중이 50% 안팎에 이르는 만큼 완전한 단절보다 점진적으로 의존도를 낮추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

홍선혜 기자 sunred@smartfn.co.kr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