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일요진단에 출연해 ‘新국제질서 맞설 대응책’ 제시
“글로벌 경제연대로’, ‘하드웨어보다 소프트 파워”
AI 패권경쟁에 대해 “AI 선택과 집중, 에너지 분산전원”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겸 SK그룹 회장이 19일 KBS 일요진단에 출연해 트럼프 정부 출범 등 국제질서 변화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책을 제시했다. 

오는 20일 트럼프 정부 출범을 하루 앞둔 방송에서 경제계 리더로서 고민해 온 ‘현실적인 재도약’ 방법론을 담았다는 평가다.

KBS '일요진단'에 출연한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 /사진=대한상의
KBS '일요진단'에 출연한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 /사진=대한상의

최 회장은 “소비, 고용, 수출 등 각종 경제지표가 좋지 않다”며 “미국 주도의 관세 인상과 이에 따른 인플레이션 압력, 인공지능(AI)의 빠른 기술적 변화 등의 불안요소가 삼각파도로 다가오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 한국의 대미 흑자액이 트럼프 1기 행정부 4년간 약 600억달러(87조5700억원) 정도였는데, 바이든 정부 4년간 약 1500억달러여서 통상압력으로 돌아올 가능성이 높다고도 말했다.

최 회장은 “세계 무역질서가 세계무역기구(WTO) 다자주의 체제에서 1:1 양자주의 체제로 바뀌고 있다”며 “수십년간 활용했던 수출주도형 경제모델은 현재의 무역질서에서 과거처럼 작동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세계경제 질서가 바뀐다는 것은 마치 씨름에서 수영으로 경기의 종목과 룰이 바뀌는 것과 같다”면서 “지금까지 씨름을 잘해왔던 선수라도 (씨름방식으로) 수영 경쟁하면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고 단언했다.

최 회장은 세계경제 질서 변화에 따른 우리경제의 대응책을 제시했다.

최 회장은 “지금 (세계경제) 룰(rule)을 결정하는 나라는 1위 미국, 2위 중국, 3위 유럽연합(EU) 경제블록 정도”라며 “우리 혼자서는 국제질서의 룰을 바꿀 힘이 부족하다. 함께 연대할 파트너와 추구해야 할 방향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언뜻 생각나는 것은 일본 같은 나라”라면서 “우리보다 경제규모는 크지만, 룰을 만들기보다 수용하는데 익숙하다는 것도 비슷하다”고 말했다. 

이어 ‘해외투자’, ‘하드웨어보다 소프트웨어’등의 기존 수출 대체모델을 제시했다. 

최 회장은 “우리는 경제 규모에 비해 해외에 전략적인 투자를 체계적으로 하고 있지 않다”며 “엔비디아가 크게 성장했을 때 엔비디아 안에 대한민국의 포션(투자비중)이 얼마나 있을지 의문”이라고 강조했다. 

‘해외시민 유입을 통한 내수 확대’ 필요성도 강조했다. 저출생 고령화 문제를 빠른 시일 안에 해소하는 것은 쉽지 않다는 것이다. 

최 회장은 “해외 시민을 유입해 단순 관광 정도가 아니라 장기 거주해 국내에서 일도 하고 세금도 내고 소비도 늘리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며 “우리는 인구의 약 10%인 500여만명의 해외인력 유입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전핶다. 

그러면서 “많은 창의적인 사람들이 사회문제를 해결하도록 체계적인 방법론을 갖춰주면, 사회적 비용(소셜 코스트)도 그만큼 줄어들게 된다”고 덧붙였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지난 8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고 있는 ‘CES 2025’ SK 전시 부스 내 마련된 비즈니스 라운지에서 질의응답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SK그룹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지난 8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고 있는 ‘CES 2025’ SK 전시 부스 내 마련된 비즈니스 라운지에서 질의응답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SK그룹

최 회장은 AI 패권전쟁에 대한 전략도 제시하면서 “무엇보다 AI에 대해 어떻게 대처해 나갈지에 대한 컨센서스 즉 국가차원의 전략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AI의 범위가 워낙 넓기 때문에‘모든 것을 다 잘하겠다’가 아니라 그중 우리가 잘할 수 있는 부문에 대한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면서 “AI를 활용해 제조 공정의 효율을 높이는 ‘제조 AI’와 ‘한국 차원의 거대언어모델(LLM)’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에너지 조달과 관련해서는 “에너지의 97%를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는 한국이 AI에 필요한 막대한 전력을 감당하기 위해서는 중앙집권식의 그리드 시스템이 아니라 분산 전원화로 나아가야 한다”고 전했다. 

최 회장은 끝으로 “경제정책은 자원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배분할 것이냐가 핵심이고, 외부 변화에 대응하려면 자원을 새롭게 배분해야 한다”면서 “대한민국 경제도 변화에 맞게 자원배분이 빠르게 진행돼야 하며 모든 것을 법으로 해결하는 것보다 모든 경제주체들이 토의와 컨센서스로 속도감 있게 돌파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