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가 저비용으로 경쟁력 있는 AI 모델을 개발했다는 소식에 27일(현지시간) 엔비디아가 직격탄을 맞았다.

이날 뉴욕 증시에서 '딥시크 충격'으로 반도체 관련주가 일제히 급락하는 가운데 엔비디아 주가가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엔비디아 주가 하락./사진=연합뉴스
엔비디아 주가 하락./사진=연합뉴스

엔비디아 주가는 이날 118.42달러(17만228원)에 마감했다. 전 거래일보다 무려 16.97% 폭락했다. 코로나19 초기였던 2020년 3월 이후 최대 낙폭이다.

시가총액도 2조9000억달러를 기록하며 3조 달러 아래로 떨어졌다. 지난 24일보다 5890억 달러(846조6875억달러)가 증발하면서 시가총액 순위도 1위에서 3위로 주저앉았다.

이날 시총 감소분은 뉴욕 증시에서 역대 단일 기업 중 최대로, 지난해 9월 3일 엔비디아의 시총 감소분 2790억 달러의 두 배다.

딥시크의 등장에 엔비디아가 큰 충격을 받는 것은 AI 모델 개발에 필수적인 것으로 여겨졌던 엔비디아의 최첨단 AI 칩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전망 때문으로 분석된다.

엔비디아 외에도 브로드컴이 17.4% 떨어지며 낙폭이 더욱 컸고, 오라클(-13.8%), 슈퍼마이크로컴퓨터(-12.5%), 마이크론 테크놀로지(-11.7%) 등도 두 자릿수대 낙폭을 보였다.

반면 그동안 AI 투자에 소극적이었다는 평가를 받아온 애플은 AI 이날 3.2% 상승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