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 진압 약 4시간쯤 후 불길 잡아, 소방관 1명 부상 외 인명피해 없어
소장품 안전 위해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이송
소방당국, 증축공사 용접을 원인으로 추정, 정확한 원인은 '조사 중'
1일 오전 8시40분쯤 서울 용산구 국립한글박물관에서 불이 났다. 관람객이나 소장품 피해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박물관 측은 안전을 위해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소장품을 이송했다.
소방당국은 화재 발생 50분 만에 대응 1단계를 발령한 데 이어 약 4시간 만인 오후 12시31분쯤 큰 불길을 잡았다. 진화 작업에는 장비 76대와 인력 262명이 동원됐다.
불은 전시실로 운영되는 지상 3층에서 시작돼 4층으로 번졌다. 소방당국은 4층에 쌓여 있는 자재로 진입이 힘들어 불길을 잡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고 전했다.

이어 용산소방서 관계자는 "건물 내 바닥에 가연물이 많아 일일이 들어내며 잔불을 감시해야 해 완진까지는 시간이 오래 걸릴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불길을 잡는 데 3시간51분이 걸렸고 불을 끄기 위해 박물관 내부로 진입했던 소방대원 1명이 딛고 선 작업 발판이 빠지면서 2m 아래로 떨어지고 철근 낙하물에 다쳐 병원으로 이송됐다.
그 외 관람객 등의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박물관이 증축공사로 휴관 중이라 관람객은 없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화재 진압 과정에서 박물관 안에 있던 작업자 2명이 구조됐고 4명이 대피했다.
화재로 박물관 3층과 4층이 전소됐지만 문화유산 피해는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소방당국은 바람이 주변에 있는 아파트 단지 쪽으로 불지 않아 주민 피해도 크지 않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이날 오전 11시30분쯤 화재 현장에 도착해 진압 상황과 피해 현황 등을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 장관은 박물관 직원에게 "소방청과 협조해 화재 진압에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지난 2014년 한글과 한글문화를 알리기 위해 개관한 국립한글박물관은 한글 관련 문헌자료 등 8만9000점을 소장하고 있다. 다행히 이날 화재로 소실된 소장품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증축공사를 시작하면서부터 유물 전반을 수장고에서 별도로 관리 중인 박물관은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해 국가 지정문화재급 소장품 257점을 인근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겼다.
화재 원인에 대해서는 소방당국이 증축공사 현장에서 철근을 자르기 위해 용접작업을 하다가 불티가 튀어 화재가 시작됐을 수 있다고 추정하고 있다. 보다 정확한 원인은 조사 중에 있다.
용산소방서 관계자는 스프링클러와 제연설비 등이 정상적으로 작동했는지 여부와 관련해 "공사 중이었던 관계로 조사해봐야 한다"며 "현재까지 스프링클러는 (작동이) 중지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