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자들이 내수 침체 장기화 탓에 줄폐업하고 있다. 고물가 지속과 과도한 배달 수수료까지 더해지면서 최근 최근 두 달간 20만명 넘게 감소했다. 현재 국내 자영업자수는 지난 코로나19 사태 당시 수준인 550만명이다. 이는 지난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당시 때 보다 적은 수치다.

10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1월 국내 자영업자 수는 550만명으로 집계됐다. 코로나 사태 막바지였던 지난 2023년 1월 이후 가장 적은 수준이다. 이후 회복세를 보였다가 국내외 경기 침체와 내수 부진으로 자영업자 수는 지난해 11월 570만여 명보다 20만명 이상 감소했다.
연도별 자영업자 수를 살펴보면, 현재의 자영업자 수는 IMF 외환위기 당시인 1997년(590만명), 1998년(561만명),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8년(600만명), 2009년(574만명)보다 적다.
2009년부터 500만명대로 줄어든 자영업자는 줄곧 560만∼570만명 수준을 유지하다 2020년 코로나 사태로 550만명대로 줄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내수 부진 등 경기 침체가 장기화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코로나 사태 이후 외식 등 소비를 줄이는 소비 행태가 고착됐으며, 최근의 고물가·고금리 상황이 이어지면서 자영업자가 힘들어 졌다는 설명이다. 또한 코로나 대출 만기 연장 등 정책적 지원이 끝난 것도 주된 이유다.
이정희 중앙대 경제학과 교수는 연합뉴스에 "작년 말 자영업자 급감한 것은 '코로나만 지나면 괜찮아지겠지'라며 희망을 갖던 자영업자가 더 이상 버티지 못하고 줄폐업한 영향"이라며 "아직 버티고 있는 이들이 많아 자영업자 수는 올해에도 계속 줄어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국경제인협회가 최근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수행한 자영업자 500명 대상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자영업자는 원자재·재료비(22.2%), 인건비(21.2%), 임차료(18.7%), 대출 상환 원리금(14.2%) 순으로 부담이 크다고 응답했다.
아울러 응답자들은 작년 순이익이 전년 대비 13.3% 감소했다고 답했다. 순이익이 감소했다는 응답 비율은 72.0%, 증가했다는 응답은 28.0%였다. 올해도 순이익과 매출이 줄어들 것이라는 응답 비율은 각각 62.2%, 61.2%로 나타났다.
자영업자들의 위기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이들을 위한 일자리 연계 사업 등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