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개국 450여개사 참여, 육상·해상·항공 등 전 영역에서 SW, 로보틱스, AI 기술 총출동
국내 최대 규모 모빌리티 산업 전시회 '2025 서울모빌리티쇼'가 오는 4월 3일 언론공개행사를 시작으로 4월 13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개최된다.
서울모빌리티쇼조직위원회(조직위)는 19일 서울 강남구 과학기술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2025서울모빌리티쇼에 대한 주요 추진 상황을 공개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강남훈 조직위원장은 "이번 2025서울모빌리티쇼는 30년 전시회 역사상 가장 다양한 모빌리티 분야의 제품 및 서비스를 선보인다"며 "총 전시규모는 12개국 451개사가 참가해 육상, 해상, 항공 등 공간의 한계를 넘고 기술의 경계를 허무는 혁신을 통해 미래 모빌리티 비전을 보여드리고자 한다"고 말했다.

조직위는 간담회에서 2025서울모빌리티쇼의 주제를 ▲Mobility Everywhere(공간을 넘어)와 ▲Beyond Boundaries(기술을 넘어)로 제시했다.
본 전시회는 모빌리티 기술이 단순한 이동 수단을 넘어 육상·해상·항공 등 다양한 환경에서 실현되고 제품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자리다. 산업간 경계를 허물고 자율주행, AI(인공지능), 로보틱스 등 다양한 기술이 융합된 모빌리티 비즈니스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강조한다.
우선 완성차 브랜드로 현대차, 기아, 제네시스를 포함한 12개 브랜드가 참가한다.
그 중 기아는 다양한 전기차와 더불어 목적기반 모빌리티 PBV 라인업을 선보이며 차량 인포테인먼트 전문 기업인 모트렉스 또한 현대차의 ‘ST1’ 플랫폼을 활용한 PBV를 공개할 예정이다.
이번 전시회에는 중국 BYD와 영국 로터스가 한국 시장에 진입하며 서울모빌리티쇼에 참가한다. BYD는 최근 한국 시장에 진출하면서 아토3를 런칭했고 이번 서울모빌리티쇼에는 중형 전기세단 씰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밖에 브랜드별 신차는 4월3일 미디어브리핑을 통해 자세히 공개된다.
이번 서울모빌리티쇼에는 최초로 선박이 참가한다. 국내 친환경 선박 제조사 빈센은 3시간 동안 운행이 가능한 레저용 전기선박 ‘이포크2’를 공개한다. 삼보모터스그룹은 실제 운항이 가능한 수직이착륙 UAM을 선보인다. 본 기체에는 최대 약 100km의 비행이 가능하며, 수직이착륙시에는 배터리를, 순항비행시에는 수소연료전지를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동력방식이 최초 적용됐다.
올해 헤드라인 파트너로 참가하는 HD현대는 차세대 신모델 굴착기를 글로벌 최초로 공개할 예정이다. 본 모델은 글로벌 탑티어 건설기계 브랜드와 경쟁하기 위해 탄생한 플래그십 장비로 자세한 내용은 모빌리티쇼 현장에서 공개될 예정이다.
부품기업은 현대모비스, 서연, 보그워너 등 42개사가 부스를 꾸린다. 현대모비스는 차량 전면 유리창의 특수 광학 필름을 통해 각종 주행 정보를 파노라마처럼 펼쳐 운전자에게 시각정보를 제공하는 홀로그래픽 윈드쉴드 투명디스플레이를 선보인다. 글로벌 부품회사 보그워너는 EREV 차량 내 발전기와 인버터 통합 기술을 출품할 예정이다.
롯데그룹도 서울모빌리티쇼에 참가한다. 롯데이노베이트는 운전석 없는 자율주행차로 국내 최초 40km/h 속도 허가를 받은 자율주행셔틀을 공개하고 야외에서 관람객을 대상으로 시승체험을 진행한다. 더불어 그룹 내 배터리, 충전인프라, 배송로봇 등 모빌리티 관련 사업 및 기술을 소개할 예정이다.
휴머노이드로봇 개발사인 로브로스는 호텔과 레스토랑 등 복잡한 환경에서 정밀한 작업 수행이 가능한 서비스용 로봇을 관람객에게 선보이고, 삼보모터스그룹은 산업현장에 필요한 자율이동로봇(AMR)을 로보틱스 카테고리로 출품했다.
조직위는 모빌리티 관련 신기술 개발을 장려하고 연관산업간 비즈니스 창출을 확대하기 위해 다양한 비즈니스 플랫폼을 마련하고 있다.
‘서울모빌리티포럼’, '퓨처모빌리티어워드',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 1단계 성과공유회' 등이 열릴 예정이다.
이밖에 외부 전시장에서 현대차와 BYD가 신차 시승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내부 전시장에서는 30주년 기념 모빌리티와 패션을 콜라보한 '모빌리티 패션위크'가 열린다. 어린이 관람객을 위한 디자인 페스티벌과 VR/XR체험도 열릴 예정이다.
2025서울모빌리티쇼의 입장권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 예매할 수 있으며 전시장 현장에서도 구매 가능하다. 사전 예매 시 할인 혜택이 제공되며, 단체 관람객을 위한 특별 요금도 제공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