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성장 가능성 높은 전기 이륜차 시장 경쟁력 향상 기대”
LG에너지솔루션은 'BSS(배터리 교환 스테이션)','전기 이륜차 교환형 배터리 팩' 부문에서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KTC)이 발행하는 KS(국가표준) 공인성적서를 국내 최초로 획득했다고 31일 밝혔다.
전기 이륜차 보급 및 확산, 배터리 구독형 서비스 시장 활성화를 위해 추진되고 있는 정부 지원 정책의 '필수 조건'을 갖춤으로써 보조금 혜택 딍에 따른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는 설명이다.

앞서 환경부는 지난달 17일 '2025년 전기이륜차 보급사업 보조금 업무처리지침' 및 '2025년 전기이륜차 배터리 교환형 충전시설 설치 보조사업 운영지침'을 확정 발표하며 "국가 표준에 해당하지 않는 배터리 교환형 충전시설에는 설치비용을 미지원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번에 LG에너지솔루션이 획득한 KS 공인 인증 항목은 ▲전기·기계적 제원, 통신프로토콜, 성능·안정성·내구성 등 교환형 배터리 팩 ▲배터리 교환형 충전시설 등과 관련한 총 4건이다.
LG에너지솔루션 측은 “그동안 배터리 교환형 전기 이륜차 시장에서 제작사별 상이한 제품 및 기준에 따른 비효율은 시장 성장을 가로막는 고질적 문제로 꼽혀왔던 것이 사실”이라며 “국내 기업 중 처음으로 국가표준 요건을 획득함으로써 정부가 추진하는 표준화 시장 내에서 경쟁력을 한층 높일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국내 전기 이륜차 시장은 성장 가능성이 높은 시장으로 꼽힌다. 특히 코로나 팬데믹 시기 배달 문화가 확산하면서 내연기관 이륜차의 소음과 매연 등의 문제가 확산됐고 대기오염 감소, 소음 저감에 효과적인 전기 이륜차가 대안으로 부상했다.
한국전기이륜형자동차협회(KEMS)의 ‘2024년 이륜자동차 사용신고 현황’에 따르면, 현재 국내 내연기관 및 전기 이륜차 등록 대수는 약 220만 대, 2024년 한 해 등록 대수는 약 11만 대에 달한다. 또한 환경부의 ‘전기이륜차 및 배터리교환형 충전시설 보급 현황’에 따르면 배터리 교환형 전기 이륜차는 23년 1654대에서 24년 3429대로 2배 이상 증가했으며, 충전시설은 전국에만 총 1872기에 달한다.
환경부는 올해 전기 이륜차 2만대 보급을 목표로 구매보조금 총 160억 원을 지급하고, 충전시설 500기 설치 지원을 위해 50억 원을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이번 인증서 획득을 계기로 정부와 함께 국내 전기이륜차 교환형 배터리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노력할 계획"이라며 "또한 한국자동차연구원, 강원대학교와 국가표준기술력향상사업 연구개발과제 참여를 통해서 국제 ISO(국제표준화기구) 등 글로벌 시장에 KS 표준이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 LG에너지솔루션, 폴란드 PGE와 대규모 ESS 프로젝트 계약 체결
- LG에너지솔루션-두산밥캣, 건설장비 배터리팩 솔루션 개발 나선다
- 美-캐나다 관세전쟁 확산…'LG엔솔' 생산전략 재정비
- LG에너지솔루션, 전고체전지 충전속도 ‘10배’ 높이는 기술 개발
- LG에너지솔루션, 1분기 영업익 3747억원···전년비 138.2% ↑
- 이한선 LG엔솔 특허그룹장 전무 "명품 특허 확보는 최고의 경쟁력"
- LG에너지솔루션-프랑스 DBG, 배터리 리사이클 합작법인 설립
- LG에너지솔루션, 1분기 영업익 3747억원···전년비 138.2% ↑
- LG에너지솔루션, 얼티엄셀즈 3기 최종 인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