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0만명 무너진 가입자 수… 2024년 감소폭 역대 최대

국민연금공단 (사진=연합뉴스)
국민연금공단 (사진=연합뉴스)

국민연금 가입자 수가 6년 만에 다시 2100만명대로 줄었다. 저출생 영향이 본격화되면서 연금 보험료를 내는 인구는 줄어드는 반면 수급자는 빠르게 늘고 있어 국민연금 재정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2024년 12월 기준 국민연금공단 공표 통계에 따르면 전체 가입자 수는 2198만4003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1년 전인 2023년 12월(2238만4787명)보다 40만명 이상 줄어든 수치로 국민연금 가입자 수가 2200만명 아래로 떨어진 것은 2018년 처음 2200만명을 돌파한 이후 6년 만이다.

사업장·지역 가입자 모두 줄어… 지난해 감소폭 역대 최대

국민연금 가입자는 제도 도입 첫해인 1998년 443만명에서 꾸준히 증가해 2018년 2200만명을 넘어섰다. 그러나 코로나19 시기인 2019년과 2020년에는 각각 10만명, 11만명씩 줄어든 데 이어 최근엔 저출생 영향이 본격화되며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2023년에도 가입자는 전년 대비 11만3000명 줄었다.

지난해에는 감소폭이 더 커졌다. 특히 직장인 대상인 사업장 가입자 수가 처음으로 줄어든 것이 눈에 띈다. 지난해 12월 기준 사업장 가입자는 1467만5745명이며 1년 전 1481만2062명보다 13만6000명 이상 감소했다.

지역가입자도 지난해  12월 기준 651만3108명이다. 2023년(671만4114명)보다 20만명 이상 줄었다. 지역가입자는 자영업자나 프리랜서 등이 포함되며 이 역시 2년 연속 감소세다. 반면 국민연금 수급자는 빠르게 늘고 있다. 지난해 12월 기준 수급자는 737만2039명(일시금 수급자 포함)으로, 2023년 12월(682만2178명)보다 55만명 가까이 증가했다. 이는 고령화가 가속되며 연금 수급 연령층이 확대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처럼 보험료를 내는 가입자는 줄고 받는 수급자는 급증하면서, 국민연금의 재정 불균형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다. 특히 출산율 저하로 인해 장기적으로 가입자 기반이 축소될 가능성이 높아 향후 국민연금 개편 논의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키워드
#국민연금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