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부과시 타격 불가피···현지 위탁생산 등 대안 마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향후 2주 안에 의약품에 대한 품목 관세를 발표한다고 밝히면서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가 우려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5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의약품 제조 촉진 관련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의약품 가격과 관련, 다음주에 큰 발표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바이오협회에 따르면 2024년 기준 미국이 한국에서 수입한 의약품 규모는 39억7000만달러다. 미국으로 수입되는 한국산 의약품 중 바이오의약품이 37억4000만달러로 94.2%를 차지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올해 의약품 수출이 바이오의약품의 지속적인 수요 증가와 미국·유럽 지역에서의 실적 호조로 12.6%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다.
다만 의약품 수출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미국이 관세를 높일 경우 타격이 불가피하다.
트럼프 대통령이 '큰 발표' 등 과격한 표현을 사용하면서 높은 관세율이 부과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월 18일 의약품 관세에 대한 질문에 "25%, 그리고 그 이상이 될 것"이라고 말했지만 지난달 2일 발표한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는 의약품이 제외됐다.
제약·바이오업계는 트럼프 대통령이 1월 취임 연설에서 외국에서 생산된 의약품에도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이후 지속적인 언급한 만큼 대응책을 강구해왔다.
미국에 의약품을 수출하는 대형 바이오업체들이 자체적으로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피해가 우려한 만큼 크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셀트리온은 지난 1월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연설 이후 필요시 현지 완제의약품 생산을 더 확대하겠다는 방침 등을 밝힌 바 있다.
셀트리온은 지난 2월 홈페이지 공지에서 "2025년은 관세 영향 최소화 선조치를 완료했다"며 올해 상반기 중 투자 결정 대응 사항으로 원료의약품 수출 집중과 현지 생산시설 확보 검토 등을 제시했다.
SK바이오팜은 이전부터 캐나다 외 추가로 미국 내 생산을 추진해왔다. 현재 미국 식품의약품청(FDA) 허가를 받은 시설에서 필요시 즉시 의약품 생산이 가능하며 미국 내 약 6개월분의 의약품 재고도 확보하고 있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