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라톤협상 끝 교섭 결렬···노조, 지부장 총회서 입장 번복
총파업을 예고했던 서울 시내버스 노조가 파업을 미루기로 했다. 막판 협상 결렬로 파업을 선언한 지 두어시간 만이다.
28일 시내버스 노사에 따르면 한국노총 산하 서울시버스노동조합은 이날 오전 2시쯤 용산구의 노조 사무실에서 지부장 총회를 열고 총파업 여부를 논의한 뒤 이같이 결정했다.

파업 여부와 관련한 지부위원장 투표에서 재적 63명 중 60명이 투표했고 이 중 49명이 파업에 반대했다. 파업 찬성은 11명, 기권은 3명이었다.
이에 따라 이날 첫차부터 파업 예정이었던 시내버스는 정상 운행될 예정이다.
시내버스 노사는 27일 오후 3시부터 약 9시간에 걸친 막판 협상 끝에 28일 오전 0시 10분쯤 협상 결렬을 선언했다.
노조는 결렬 이후 총파업에 돌입할 예정이었지만 지부위원장 투표 이후 입장을 번복했다.
노조 관계자는 "파업을 하더라도 서울시와 사업주들의 입장이 달라지지 않을 것이란 확신이 들어 무의미한 파업이 될 것 같다"며 "소송과 노동부의 진정을 통해 권리구제가 확인된 후 사측과 서울시가 더 이상 억지 주장을 못하게 한 후 교섭을 재개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어 "대법원까지 상고를 하더라도 결과가 조속히 날 것"이라며 "앞으로의 법률 투쟁과 권리 투쟁에 집중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사측인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은 입장문을 내고 "노동조합의 파업 유보 결정에 대해 진심으로 환영하고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며 "버스조합은 오늘 오전 첫차부터 시민들이 안전하게 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이어 "버스조합은 노동조합의 파업 유보 결정을 존중하는 것과 함께 노동조합과 조속히 임단협 교섭을 재개할 계획"이라며 "버스조합은 향후 노동조합과의 교섭에서 '임금체계 개편'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정중히 요청하겠다"고 덧붙였다.
파업 돌입시 예정됐던 서울시의 무료 셔틀버스 운행 및 지하철 증차 계획은 취소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