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AI 반도체 선도기술인재양성 사업 수행 대학 선정 발표
매년 석·박사급 AI 반도체 인재 20명 양성
정부, 연구 과제당 연평균 20억·최장 6년 간 지원

연세대와 성균관대가 정부의 인공지능(AI) 반도체 인재 양성 사업 수행 대학으로 선정돼 6년간 매년 AI 반도체 분야 석·박사생 20명씩을 양성한다. AI 반도체 (PG)./연합뉴스 제공
연세대와 성균관대가 정부의 인공지능(AI) 반도체 인재 양성 사업 수행 대학으로 선정돼 6년간 매년 AI 반도체 분야 석·박사생 20명씩을 양성한다. AI 반도체 (PG)./연합뉴스 제공

연세대와 성균관대가 정부의 인공지능(AI) 반도체 인재 양성 사업 수행 대학으로 선정돼 6년간 매년 AI 반도체 분야 석·박사생 20명씩을 양성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정보통신기획평가원과 함께 '산학연계 AI반도체 선도기술인재양성' 사업 공고 및 선정평가를 완료하고, 과제를 수행할 대학으로 연세대와 성균관대를 선정했다고 12일 밝혔다.

이 사업은 국내 유수의 AI반도체 대·중소기업 및 스타트업, 대학이 함께 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역량을 갖춘 석·박사급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정부가 올해 새롭게 추진하는 사업이다.

선정 대학은 연평균 20억원을 최대 6년간 지원받아 'AI 반도체 혁신연구소'를 설립하며 AI 반도체 분야 석·박사생을 매년 20명 양성한다.

연세대는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AI반도체 시스템 전반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와 아키텍처(AI반도체 설계도) 설계 능력 배양에 특화된 교과목 및 산·학 연계 과정, 다학제 융합 교육·연구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연세대 산하 연구센터는 AI 시스템 아키텍처, NPU 컴파일러, 온-디바이스 NPU, 인-메모리 컴퓨팅, AI 응용 및 프레임워크 등 5개로 구성한다. 협력기업으로 삼성전자, 오픈엣지테크놀로지, 디노티시아, 아티크론, 애나가 참여한다.

성균관대는 차세대 NPU(신경망처리장치) 및 SoC(시스템 온 칩) IP(반도체 설계자산) 개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공동 설계 등 AI반도체 설계 역량 확보를 위한 연구 및 교육에 주력한다.

이를 위해 AI반도체혁신연구소 산하에 NPU코어, NPU인프라, 피지컬AI, AI컴퓨팅 플랫폼 등 4개 연구센터를 구성한다. 모빌린트, 오픈엣지테크놀로지, 보스반도체, 삼성전자가 각 센터의 협력기업으로 참여할 예정이다.

박태완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각 AI반도체혁신연구소가 실전형 AI반도체 인재 양성의 허브로 도약하도록 지원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