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국정기획위원회에 부처 관련 핵심 현안으로 인공지능(AI) 경쟁력을 위한 진흥 중심의 정책, SK텔레콤 해킹 사고를 계기로 한 국가 전반의 사이버 보안 역량 강화 등을 18일 보고한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과기정통부는 AI 분야의 핵심 현안으로 AI 컴퓨팅 인프라 확충, AI 기본법 하위법령 제정, 범용 AI 모델 개발 등을 꼽았다.
입찰 기업이 나타나지 않아 표류하게 된 국가AI컴퓨팅센터 추진 방향도 재검토한다. AI 업계에 대한 규제보다 진흥 중심으로 정책을 추진한다.
소수정예 민간 전문가를 중심으로 국가AI위원회의 컨트롤타워 기능 강화, AI 정책 기획·집행을 주도할 전담 부처에 'AI 정책실'을 신설하는 방안 등도 보고된다.
AI 정책실이 신설될 곳을 기존 AI 정책 담당인 과기정통부가 아닌 'AI 전담 부처'로 지칭한 것은 새 정부에서 AI를 관할할 부처를 개편하려는 움직임을 고려한 것으로 해석된다고 연합뉴스는 보도했다.
AI 모델 대표 개발팀을 선정해 지원하고 외국 그래픽처리장치(GPU)를 대체할 국내 신경망처리장치(NPU) 기반 AI 반도체 생태계를 육성한다는 방안도 담았다.
과기정통부는 이재명 대통령 공약 이행 방안으로 범국가 AI 대전환, 우리나라 독자적 AI 모델 기반으로 전 국민이 사용할 수 있는 AI 서비스 출시 유도 등을 언급했다.
아울러 과기정통부는 SK텔레콤 해킹 사고에 대해 강도 높은 조사를 진행 중이라며 이용자 피해 최소화, 재발 방지와 국가 전반의 사이버 보안 역량 강화도 핵심 현안이라고 꼽았다.
- 李정부, OTT·케이블TV·IPTV 등 방통위로 일원화할까?
- 연세대·성균관대, AI 반도체 석·박사급 인재 양성 주력 대학 선정
- 美서 기소된 중국 해커 대화 보니···"中 공안이 韓 통신사 자료 요청"
- ‘제1회 메타버스 인프라 협의회’ 전주서 개최
- 점점 밝혀지는 'SK텔레콤 해킹 사태'···강화된 FDS 적용으로 피해 無
- SK텔레콤, 해킹당한 HSS가 뭐야···얼마나 위험해?
- SK텔레콤, "유심교체 오늘 완료 예정···앞으로 새로운 유심 교체 시스템 적용"
- SK텔레콤 "50일만 신규영업 재개···고객 보상 신뢰회복위 검토 중"
- SK텔레콤,' 에이닷'에 리벨리온 NPU '아톰' 적용··· "소버린 AI 실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