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장인 10명 중 8명은 이번 여름휴가로 국내를 선호하며 휴가비는 평균 53만5000원을 사용할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전국 직장인 800명을 대상으로 직장인 여름휴가 계획 및 정책과제 조사를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81.6%가 '여름휴가를 갈 계획'이라고 답했다. 이 중 83.5%는 해외 여행보다 '국내 여행'을 선택했다.
일정은 '2박 3일'(38.9%)이 가장 많았고, '3박 4일'(22.7%), '1박 2일'(21.3%) 순으로 집계됐다.
선호 여행지(복수 응답)로는 국내에서는 강원권(34.9%)이 가장 인기 있었다. 경상권(27.9%), 제주(22.4%), 전라권(20.0%) 순이었다. 해외는 일본(50.9%)과 동남아(45.4%)가 합쳐서 96.3%로 압도적이었다.
1인당 휴가비로는 평균 53만5000원을 사용할 계획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48만9000원보다 9.4% 증가했다. 연합뉴스는 전국 직장인 약 2000만명 중 절반이 여름휴가를 떠난다고 가정하면 약 1조원 이상의 소비가 발생하는 셈이라고 보도했다.
서울 지역 직장인의 경우 1인당 지출 계획이 77만6000원으로 집계됐다. 전남 지역은 39만3000원에 그쳤다.
연령대별로는 30대가 평균 지출 66만6000원으로 가장 많이 집계됐다. 이어 20대 52만7000원, 40대 49만4000원, 50대는 44만6000원 순이었다.
올여름 휴가비를 작년과 비교한 질문에는 '더 많이 쓴다'는 응답이 32.2%, '적게 쓴다'는 응답이 26.8%로 집계됐다. 식비 74.8%, 숙소비 58.1%, 교통비 31.0% 순으로 지출이 더 많다고 응답(복수응답)했다.
여름휴가에서 희망하는 지원책(복수 응답)으로는 '숙박권 할인'(50.8%)이 가장 많았다. '지역사랑상품권·지역화폐 혜택 확대'(36.5%),'교통비 할인'(35.8%)도 상위권에 올랐다.
여름휴가에서 정부 정책 중 개선됐으면 하는 부분으로는 '형식적인 캠페인·이벤트 중심'(23.3%), '사용처 제한이 많은 쿠폰'(18.4%), '실질 금액이 적은 할인'(18%) 등이 지적됐다.
김민석 대한상의 유통물류정책팀장은 "최근 정부에서 적극적인 추경 계획을 밝힌 만큼 숙박권 할인, 지역 상품권 등 실질적인 지원 정책을 통해 휴가철 소비를 내수 활성화로 연결할 기회를 놓쳐선 안 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