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에프엔 = 김효정 기자| 올해 상반기 소비자 물가가 작년 같은 기간보다 2%이상 올랐다. 전체 물가 지표는 비교적 안정됐지만, 일부 먹거리 가격이 큰 폭으로 뛰어 물가 불안 요소로 지목됐다.

3일 통계청 소비자물가동향과 국가통계포털(KOSIS), 연합뉴스 등 따르면 올해 상반기 소비자 물가는 작년 동기보다 2.1% 상승했다.

상반기 기준으로 2021년(2.0%) 이후 4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상반기 물가상승률은 2022년 4.6%에서 2023년 3.9%, 지난해 2.8%로 점차 낮아지는 추세다.

소비자들이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고 있는 모습./사진=연합뉴스
소비자들이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고 있는 모습./사진=연합뉴스

하지만 일부 먹거리 물가 상승률은 전체 소비자물가를 크게 웃돌았다.

수산·축산물 물가지수는 올해 상반기 각 5.1%, 4.3%나 올랐다. 올해 초부터 가격이 줄줄이 인상된 가공식품과 외식 물가도 3.7%, 3.1%씩 상승했다.

다만 농산물은 작년 동기보다 1.6% 떨어졌다. 지난해 과일값 급등에 따른 기저효과로 과일 물가가 6.1% 내린 데 가장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품목별로는 무가 올해 상반기 54.0% 뛰어 전체 품목 가운데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어 보리쌀(42.0%), 오징어채(39.9%), 컴퓨터 수리비(27.9%), 배추(27.0%), 김(25.1%), 찹쌀(23.8%) 순으로 상승률이 높았다.

보리의 경우 지난해 재배면적이 감소했고, 오징어채의 경우 바다 수온이 높아져 오징어 어획량이 줄었기 때문이라는 게 통계청의 분석이다.

출고가 인상이 이어진 가공식품 초콜릿(17.0%), 시리얼(9.9%), 커피(8.8%) 등의 상승률도 상대적으로 높았다.

일부 식품 가격 인상을 내수 부진에 따른 낮은 수요 압력과 유가 하락 등 하방 요인이 상쇄되면서 올해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를 밑돌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올해 초 경제정책방향에서 올해 소비자물가상승률을 1.8%로 전망했다. 다만 조만간 내놓을 새 정부 경제정책방향에서 이를 다시 점검할 예정이다.

한국은행은 지난 5월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1.9%로 예상했다.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