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에프엔 = 김효정 기자 | 국내 최대 인터넷서점 예스24가 해킹당한 지 두 달 만에 또 사이버 공격을 받아 먹통이 됐다.
11일 예스24 측은 이날 새벽 외부로부터 랜섬웨어 공격을 당해 서비스 접속이 불가능하게 됐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예스24 관계자는 "혹시 모를 공격에 대비해 외부에서 접속할 수 없게 자체적으로 시스템을 차단했으며 백업 데이터를 이용해 복구 작업 중"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관계자는 복구가 언제 완료될지, 서비스가 언제 재개될지는 현재로서는 예측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예스24는 올해 6월 9일 랜섬웨어 해킹을 당해 앱과 인터넷 통신망이 마비됐으며 먹통이 된 지 닷새만인 같은 달 13일부터 서비스를 순차적으로 재개했다.
당시 예스24는 해킹당한 사실을 이용자 등에게 즉시 알리지 않았으며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등에 해킹을 당했다고 신고한 사실이 다음날 보도로 알려지고서야 해킹 피해를 공표했다.
예스24는 회원 수가 2000만명 수준인 국내 최대 규모 인터넷서점으로 도서 외에도 음반·DVD·문구 등을 취급한다. 각종 공연 관람권 거래 창구로도 활용되고 있어 서비스 중단에 따른 영향이 크다.
지난번 해킹 사태 후 예스24의 대응이 충분했는지 의문이 제기될 것으로 보인다.
당시 김석환·최세라 예스24 공동대표는 해킹당한 지 일주일 만에 사과문을 발표하고 "보안 체계를 원점에서 재점검할 예정이다. 외부 보안 자문단을 도입하고, 보안 예산을 확대해 시스템 설계부터 운영 전반까지 플랫폼의 신뢰도와 복원력을 강화하겠다"고 약속했으나 먹통 사태 재발을 피하지 못했다.
- '해킹' 예스24, 또 먹통···회사측 "현재 원인 파악 중"
- 예스24·SGI서울보증 덮친 '랜섬웨어', 어떻게 대비할 수 있을까?
- [기자수첩] 디지털 서비스 '연쇄 마비'···기초 보안 점검이 먼저
- 예스24 이어 서울보증까지 '랜섬웨어' 공격 피해 확산 중
- '해킹' 예스24 "당국 협력" 입장문에 KISA는 "사실무근" 반박
- 4억원 횡령, 대부업 약속 위반, 허위공시···OK저축은행 '기관경고'에 과태료 중징계
- SK쉴더스 "2분기 글로벌 랜섬웨어 피해 전년比 17%↑"
- 롯데카드 해킹···최대 967만명 정보 위협, 1.7GB 데이터 유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