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대책 효과 단기 한계 드러나
강남·성동 고점 행진···지방 청약 줄줄이 미달

서울 송파구 일대 아파트 전경./사진=연합뉴스 
서울 송파구 일대 아파트 전경./사진=연합뉴스 

| 스마트에프엔 = 정윤호 기자 |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둔화하는 가운데 일부 지역에서는 신고가가 이어지고 있다. 동시에 청약 시장은 수도권 단지마다 수만 명이 몰리지만 지방에서는 미달 사례가 잇따르며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은 8월 마지막 주 0.08% 상승했다. 전주 0.09%보다 0.01%포인트 줄어든 수치다. 6월 말 대출 규제 대책 발표 전 0.43% 급등했던 서울 집값은 7월 들어 0.29%로 낮아졌고 이후 0.14%에서 0.08%로 점차 둔화됐다.

그러나 강남과 성동 등 선호 지역에서는 고점 거래가 이어졌다. 강남구 도곡동 ‘도곡렉슬’ 전용 114㎡는 45억원에 거래되며 불과 석 달 전보다 3억원 넘게 뛰었고 성동구 ‘서울숲아이파크리버포레1차’ 전용 59㎡는 28억5000만원에 팔리며 신고가를 기록했다.

청약 시장은 극명하게 갈렸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하반기 들어 지난달까지 전국 일반공급 물량은 2만2292가구였으며 11만8036명이 몰려 평균 경쟁률은 5.3대 1이었다. 서울은 161가구 모집에 4만6910명이 몰려 291.37대 1을 기록했고 성동구 성수동 ‘오티에르포레’는 40가구 모집에 2만7525명이 청약해 688.13대 1이라는 기록적인 경쟁률을 보였다. 반면 광주는 345가구 모집에 176명만 신청해 0.12대 1에 그쳤고 대전과 전남 제주도 각각 1 미만의 경쟁률로 미달됐다.

주택담보대출 현황도 시장 분위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부동산R114 조사에 따르면 지난 5월 말 기준 서울 아파트 평균 주담대 약정액은 2억9557만원이었는데 ▲강남구는 4억8362만원 ▲서초구 4억6541만원 ▲용산구 4억1038만원으로 서울 평균보다 높았다.

다만 구별 평균액이 6억원을 넘는 곳은 없었다. 정부가 6·27대책을 통해 주담대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했지만 이미 대부분 평균액은 기준 이하였던 셈이다. 전문가들은 이 때문에 현금 여력이 있는 수요자가 선호 지역으로 몰리면서 대책 효과가 단기에 그칠 수 있다고 분석한다.

특히 공급 대책과 전세대출 규제 여부가 향후 시장 변곡점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업계 관계자는 “추석 이후 시장의 방향이 드러날 것”이라며 “강남과 한강벨트 같은 인기 지역 중심의 상승세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