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 11만원 인상·성과분배 신설·안전심의위 구성
지역사회와 상생 비전 강조

포스코센터 /사진=포스코
포스코센터 /사진=포스코

| 스마트에프엔 = 이장혁 기자 | 포스코노동조합은 5월 14일 상견례를 시작으로 총 19차례의 본교섭과 20여 차례의 실무교섭 끝에 2025년 임금 및 단체협약 교섭에서 잠정합의안을 도출했다고 9일 밝혔다.

잠정합의안에는 기본임금 11만원(자연상승분 별도) 인상, 철강경쟁력 강화 공헌금 250만원, WSD 15년 연속 세계 최고 철강사 선정 축하 우리사주 취득 지원금 400만원, K-노사문화 실천 장려 지역사랑상품권 50만원, 직원 성과분배(PI) 제도 신설, 임금체계 일원화, 안전심의위원회 신설 및 작업중지권 강화, 연구보상제도 및 연구장려 재원 확보, 고용 안정성 단협 명시 같은 성과가 담겼다.

노조는 “흔들림 없이 노조를 지켜낸 조합원의 단결, 국민과 지역사회의 신뢰, 3년간 축적된 교섭 역량이 모여 이룬 성과”라고 평가했다.

20대 출범 이후 ‘K-노사문화’라는 비전을 선포하고, 투쟁과 상생의 조화를 통해 성과를 창출하며 지역사회와 선순환 구조를 구축해 왔다. 올해 교섭 과정에서도 교섭TF와 쟁의TF를 동시에 운영해 교섭력을 극대화했다.

노조는 이번 잠정합의를 통해 제조업 위기 속 정부·국회·지역사회의 철강산업 지원과 맞물려 포스코가 재도약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협상 성과를 조합원에게 정당하게 배분할 수 있는 기반도 확보했다.

포스코노조는 교섭 성과를 지역사회와의 상생 활동으로 확장해 왔다. ‘포항시 노사민정협의체’와 ‘광양시 민생안전협의체’에 참여해 현안을 해결하는 가교 역할을 했고, 기부활동·장학사업·문화사업 등으로 지역사회 활력 회복에도 힘썼다. 전국철강노동자협의회와 포스코그룹노조연대를 통해 철강재 원산지 증명 의무화, 해외 철강재 관세 부과 등 산업 보호 정책 성과도 쟁취했다.

김성호 위원장은 “조합원의 뜻을 최우선으로 존중하며, 노동자의 권익과 지역사회, 철강산업의 미래를 위해 K-노사문화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새로운 노사 프레임을 주도하겠다”고 밝혔다.

잠정합의안은 13일 조합원 총회에 상정돼 찬반투표를 거쳐 최종 확정된다.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