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미 수출 급감과 현지 생산 압박
시장 다변화 비용 증가에 위기 심화

| 스마트에프엔 = 이장혁 기자 | 트럼프 행정부가 한국산 알루미늄과 구리에 대해 50%의 품목관세를 부과하면서 국내 비철금속 업계가 심각한 타격을 받고 있다. 중소·중견기업 중심으로 구성된 국내 산업은 대미 수출 급감과 현지화 투자 압박 등 삼중고에 직면했다.

24일 코딧 부설 글로벌정책실증연구원에 따르면 알루미늄의 경우 2024년 대미 수출액이 약 10억달러에 달하며, 압연재와 판재가 80% 이상을 차지한다. 고율 관세로 인해 음료 및 포장재 기업들이 유리, PET 등 대체재로 전환할 가능성이 크다.

코딧 부설 글로벌정책실증연구원에서 23일 발간한 '트럼프 행정부의 알루미늄, 구리 50% 품목관세 부과와 한국의 대응전략' 이슈페이퍼 /자료=한국비철금속협회
코딧 부설 글로벌정책실증연구원에서 23일 발간한 '트럼프 행정부의 알루미늄, 구리 50% 품목관세 부과와 한국의 대응전략' 이슈페이퍼 /자료=한국비철금속협회

구리는 2024년 대미 수출액이 5.7억달러 수준이며, 동관과 동봉 제품은 수출이 사실상 어려워지는 상황이다. 다만 전력망 및 데이터센터용 동선과 초기에 미국 내 생산 기반이 부족한 동박의 경우 단기적으로는 수출이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장기적으로 대체 생산 확대가 진행될 경우 수출 감소 압력이 더 심해질 가능성이 크다.

국내 비철금속 산업은 약 57조원 규모로 구리 45%, 알루미늄 35%가 주축을 이루지만, 철강 산업과 달리 중소기업 중심 구조여서 규모의 경제 실현과 연구개발, 공급망 관리에 취약하다. 원재료 수입 의존도 및 수출 의존도가 높아 이번 관세 부과의 직접적 영향을 받고 있다.

주요국들은 미국 관세 부과에 대응해 다양한 전략을 펼치고 있다. 캐나다는 보복 관세와 WTO 제소, 산업 지원책을 병행하고 있고, 인도는 WTO 분쟁 해결 모색과 수출 지원 정책에 집중한다. 호주는 협상과 현금 지원을 중심으로 산업 회복탄력성 강화에 나서고 있다. 중국은 외교적 완충을 시도하며 공급망 재편에 주력 중이다.

전문가들은 한국 정부와 국회가 단기 피해 완화뿐 아니라 중장기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마련과 국제 협력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한다. 한-미 협상으로 관세 예외 확보, 저리 금융 지원, 시장 다변화, 공급망 데이터 관리 체계 정비, 제도적 지원 강화 등이 시급하다는 입장이다.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