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첨단산업 인재 확보 위해 '3NO 1YES' 비전 발표
학비·연구비·주거비 '3NO'···과학인상 신설로 자긍심 '1YES'

| 스마트에프엔 = 지원선 기자 | 서울시가 '이제는 이공계 전성시대'를 선언했다. 의대 쏠림으로 흔들리는 과학·공학 인재 공급 구조를 반도체·AI·모빌리티 등 첨단산업 중심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25일 고려대학교에서 열린 '이제는 이공계 전성시대 포럼' 기조연설을 통해 이같은 정책 방향을 밝혔다.
'3NO 1YES'로 학비·연구비·주거비 부담을 없애고(3NO), 과학기술인의 자긍심을 높이는(1YES) 환경을 구축해 이공계 인재가 안정적으로 연구·학업·창업에 전념하며 세계적 경쟁력을 키워갈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것이다.
3NO 1YES 비전은 ▲ 학비 걱정 NO ▲ 성과 압박 NO ▲ 주거비 부담 NO ▲ 이공계 자긍심 YES로 구성됐다.
우선 경제적인 이유만으로 연구를 포기하는 일이 없도록 '이공계 미래동행 장학금'을 신설한다. 기존 석·박사 과정 중심 지원을 박사 후 과정까지 넓히고, 연 지원 금액을 석사 2000만원·박사 4000만원·박사 후 과정 6000만원으로 확대하는 것이 골자다.
또 '서울 라이즈 텐(RISE 10) 챌린지'를 통해 최장 10년간 안정적 연구비를 지원한다. 단기 성과 압박에서 벗어나 도전적 연구를 이어갈 수 있도록 돕자는 취지다.
'이공계 인재 성장주택'도 조성해 주거 부담을 완화하고 연구·학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서울시에서 공급 예정인 공공기숙사를 활용해 물량을 공급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이같은 구상은 이공계 연구·주거·교육 등 전반의 여건을 개선해 의대 쏠림으로 인한 인력난을 완화하고 서울을 첨단산업 인재가 모이는 중심 도시로 도약시키겠다는 것이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의 '국가전략기술 R&D 인력 실태조사 보고서 2024'에 따르면 AI 관련 연구자 수는 중국 41만명, 미국 12만명, 한국 2만명 수준이다.
서울시는 '서울 과학인의 상'도 신설한다.
뛰어난 연구 성과를 낸 과학기술인을 시상하고, 국제학술대회·CES 등 세계 무대 진출을 적극 지원해 자부심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전 세계적으로 과학기술 패권 경쟁이 가속화되면서, 과학기술의 창조적 원천인 이공계 인재 확보가 국가와 도시의 미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과제로 부상했다"며 이번 비전 발표의 배경을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