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에너지 업계 최초···안전사고 예방·업무 효율화 기대
| 스마트에프엔 = 이장혁 기자 | 한국지역난방공사는 사업장 내 안전사고 ‘Zero화’를 목표로 구축한 생성형 AI 기반 스마트 안전관리 플랫폼을 완료하고 26일부터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이번 플랫폼은 집단에너지 업계 최초로 도입된 생성형 AI 시스템으로, 기존 서류 중심의 안전관리 업무를 디지털로 전환한 것이 특징이다. 한난 직원뿐 아니라 협력업체 근로자까지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돼, 사업장 전반의 안전사고 예방과 업무 프로세스 혁신을 동시에 꾀하고 있다.

플랫폼에는 사내 규정, 법률, 사고사례 등 9000여건의 자료를 학습한 AI가 탑재돼 있어, 사용자가 안전 관련 질문을 입력하면 즉시 답변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현장 근로자들은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안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안전작업허가서와 위험성평가 등 각종 안전서류를 디지털로 처리할 수 있어 작성 시간이 기존 대비 약 64% 줄어드는 효과가 기대된다.
모바일 환경도 적극 반영됐다. 근로자들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통해 발전소, 열수송시설, 사용자 기계실 등 현장에서 공간 제약 없이 안전관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한난은 향후 음성인식 기술을 도입하고, 지능형 CCTV·IoT 장비와 연계한 실시간 현장 관리 기능도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정용기 사장은 “AI 기반 안전관리 플랫폼 도입으로 내부 직원은 물론 협력사의 안전 수준을 높이고, 산업재해 예방에 적극 나서겠다”며 “안전업무의 AI 전환을 성공적으로 완수해 근로자와 시민 모두에게 신뢰받는 ‘스마트 한난’으로 거듭나겠다”고 말했다.
한난은 지난해부터 전사적 디지털 전환(DX)을 추진해왔으며, 지난 8월 ‘AI Transformation(AX) 로드맵’을 발표하고 전담조직인 ‘AX추진단’을 출범시켰다. 이번 안전관리 플랫폼은 그 첫 번째 성과물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