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마트에프엔 = 양대규 기자 | 아이폰이 긴급 상황에서 위치 정보를 전달하는 데 평균 20초가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초대인 안드로이드 위치 정보 제공 시간보다 현저히 느리다.
10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장겸 의원이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애플은 경찰·소방 등의 제3자 구조 요청에도 위치 정보를 실시간 제공하지 않고 있다.
긴급 통화 종료 후 5분 동안만 제한적으로 제공한다. 아울러 기지국·GPS·와이파이 신호를 개별적으로 제공하지 않고, 신호를 결합한 자체 복합 측위 방식 'HELO'를 통해서만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올해 실시된 긴급구조 위치정보 품질 사전시험 결과 아이폰의 응답시간은 평균 20초로 나타났다. 이는 이통3사의 안드로이드폰 평균 응답시간인 기지국 1.3초, GPS 1.7초, 와이파이 2.4초 등과 비교하면 현저히 느린 속도다.
김장겸 의원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긴급구조기관에 위치정보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며 "긴급 상황에서 실효성 있는 구조를 위해 위치정보 제공 시간을 확대하고, 본인이 구조를 요청할 수 없는 경우에 대비해 제3자 구조 요청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애플 측은 다양한 정보를 충분히 분석·계산해 정밀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20초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는 입장이다.
20초 지연은 이동 중이 긴급 호출 시 구조 시급성을 떨어뜨려 경찰·소방 등 구조기관의 초동 대응에 지장을 줄 수 있다.
애플은 제3자 긴급구조 요청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이 글로벌 정책, 개인정보 보호, 단말기 보안성 측면에서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 중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