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 복구는 불가능’···이용자 반발에 일부 기능만 되살려

| 스마트에프엔 = 정윤호 기자 | ‘국민 메신저’로 불리는 카카오톡이 최근 대규모 업데이트 이후 사용자 불만에 직면했다. 그러나 카카오는 이전 버전으로의 완전한 복귀는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신 일부 기능을 연내에 개선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15일 카카오와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우영규 카카오 부사장은 전날 열린 국정감사에서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이전 버전으로의 완전한 롤백은 어렵다”고 말했다.
우 부사장은 “업데이트를 받지 않은 이용자는 기존 버전을 계속 사용할 수 있지만 애프터서비스 측면에서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용자 불편 사항을 인지하고 있으며 조속히 개선하겠다”고 덧붙였다.
황정아 의원은 이번 업데이트가 사전 고지 없이 진행됐다고 비판했다. 특히 오픈채팅방 접속 시 숏폼 영상이 강제로 노출되는 점을 지적하며 “디지털 공해를 넘어 테러 수준”이라고 질타했다.
이에 우 부사장은 “14세 미만 이용자에 대해서는 맞춤형 광고 목적의 행태정보를 수집하지 않고 있다”고 해명했다. 또한 “15세 이상 이용자의 경우 비식별 정보를 활용 중이며 사전 동의 절차를 마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논란은 카카오톡 첫 화면이 기존의 ‘친구 목록’에서 인스타그램형 피드 화면으로 바뀌면서 촉발됐다. 친구가 프로필을 변경하면 큰 이미지 형태로 노출되고 그 사이사이에 광고가 삽입되는 구조였다.
이 같은 변화로 인해 이용자들은 “원하지 않은 콘텐츠를 강제로 봐야 한다”는 불편을 호소했다. 커뮤니티에는 ‘자동 업데이트 차단법’이 빠르게 확산됐고 논란은 주가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에 카카오는 업데이트 단행 엿새 만에 일부 기능을 되돌리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카카오 관계자는 “4분기 내에 친구탭 첫 화면을 다시 ‘친구목록’으로 복원하고 피드형 게시물은 별도 ‘소식’ 메뉴로 분리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다만 우 부사장은 “이번 조치는 2.0 버전에서 1.0으로의 회귀가 아니라 2.1로의 개선 개념”이라고 선을 그었다.
한편, 카카오는 기술적 한계 속에서도 이용자 만족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개선 작업을 진행 중이다. 우 부사장은 “이용자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서비스 품질 향상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