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무인기 핵심 기술 저피탐 무인편대기, 유무인 복합 개념 실증 앞둬
중형 타격 무인기·소형 협동 무인기 등 자체 개발한 핵심 전력 선보여

| 스마트에프엔 = 김종훈 기자 |대한항공은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에서 무인기 3종을 최초 공개했다고 20일 밝혔다.
대한항공이 선보인 무인기는 저피탐 무인편대기(LOWUS) 시제기, 중형 타격 무인기(Loitering Munition) 시제기, 소형 협동 무인기(KUS-FX) 목업(mock-up·실제 크기 모형)이다.
대한항공의 저피탐 무인편대기는 시제기 제작을 완료하고 시험 비행을 앞둔 단계다. 국내에서 공개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저피탐 무인편대기는 유인 전투기와 무인기 다수가 편대를 이뤄 임무를 수행한다. 미래 전력으로 각광받는 유무인 복합 체계의 핵심 기체이며 미국을 비롯한 주요 방산 강국이 개발 경쟁을 벌이는 분야다. 대한항공이 국내 최초로 대형 제트엔진 기반 저피탐 무인편대기를 구현할 경우, 국내 방위산업 경쟁력 강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방과학연구소와 공동 개발하는 타격 무인기도 시제기를 제작해 공개했다. 앞서 양산 중인 소형 타격 무인기에 이어 중형 타격 무인기를 선보인 것이다. 대한항공에 따르면 내년까지 중형 타격 무인기 연구개발을 완료하고 후속 체계개발 사업을 준비할 계획이라고 한다.
이와 함께 중고도 전략급 무인기 KUS-FS와 사단 정찰용 무인기 KUS-FT, 수직이착륙형 무인기 KUS-VS, 소·중형 협동 무인기 KUS-FX 등 다양한 라인업을 선보인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 자사가 보유한 풀 스펙트럼(Full Spectrum) 무인기 솔루션도 함께 제공할 예정이다.
최근 대한항공은 AI 기반 자율임무 수행 기술을 무인기에 적용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성공 시 무인기가 스스로 판단·결정해 임무를 수행하는 완전 자율 운용체계 구현이 가능해진다. 기존 원격조종 중심의 패러다임을 전환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를 위해 대한항공은 미국 AI 방산기업 안두릴(Anduril) 등과 기술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대한항공은 50년 넘게 축적한 군용기 정비·개조·업그레이드(MROU) 기술을 기반으로, 전자전기·항공통제기·UH-60 헬기 등 주요 기종의 성능 향상 로드맵도 제시한다. 미 국방부가 추진 중인 ‘지역 거점 운영 유지 체계(RSF)’ 아태 지역 적임자로서의 면모를 부각하는 한편, 중동·동남아 지역의 신시장 진출 가능성도 타진한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대한항공은 다양한 무인기 플랫폼을 갖춘 기업이자 무인기 시대를 이끄는 방산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며 “국산 기술로 개발한 무인기들이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인정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