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에프엔 = 양대규 기자 | 국제신용평가기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21일 LG전자 신용등급 전망을 BBB Stable(안정적)에서 BBB Positive(긍정적)로 한 단계 상향 조정했다. S&P가 LG전자 신용등급 전망을 조정한 것은 2022년 10월 이후 3년 만이다.
이는 가전, 전장사업의 견조한 성과와 최근 인도법인 상장을 통한 대규모 현금 조달, 관계사 LG디스플레이 실적 개선에 따른 기대를 반영한 것이다. 앞서 올 2월에는 국제신용평가기관 무디스가 LG전자 신용등급 전망을 Baa2, Stable(안정적)에서 Baa2, Positive(긍정적)로 상향 조정한 바 있다.

S&P가 신용등급 전망을 ‘긍정적’으로 상향 조정한 것은 현재 LG전자의 사업구조와 재무상황 등을 고려했을 때 향후 1~2년간 재무 지표를 지속적으로 개선해 신용도를 개선할 가능성이 높음을 전망한다는 의미이다. 당분간 현 상태를 유지한다는 의미의 ‘안정적’ 등급 대비 긍정적 평가다.
S&P는 “LG전자는 美 관세인상 등 어려운 환경 가운데 주력사업의 견조한 실적, 인도법인 상장을 통한 대규모 현금 유입, 지분 36.72%를 보유한 LG디스플레이의 턴어라운드가 주요 성장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구체적으로 가전 사업은 거시경제 불확실성 속에서도 안정적인 수익성을 기반으로 주요 시장에서 탄탄한 입지를 구축하고 있으며, 냉난방공조 사업은 데이터센터용 냉각솔루션 사업과 고효율 솔루션이 성장 동력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전장 사업은 100조 원에 달하는 수주 잔고에 더불어 수주 믹스 개선 등이 이뤄지며 수익성을 크게 개선하고 있다고 말했다.
S&P는 관계사 LG디스플레이의 실적 개선세 또한 LG전자 신용등급 평가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봤다. LG전자는 LG디스플레이의 경영성과를 지분법손익으로 반영하고 있다. 또 인도법인 현지 증시 상장으로 인한 1.8조 원 이상 현금 유입 또한 부채 감소 등으로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 LG전자 조주완 CEO 제20회 전자∙IT의 날 금탑산업훈장 수훈
- LG전자, 136인치 4K‘능동형 마이크로 LED’ TV 선보여
- LG전자, 英 런던서 투명 올레드 TV로 한국 전통 수묵화 전시
- LG전자·컬리, DMTS서 AI 시대 마케팅 비법 푼다
- LG전자, 글로벌 차량용 SW 마켓플레이스 'SD버스' 합류
- LG전자, 산∙학∙연 전문가와 '6G·AI·양자·우주' 기술 공유하는 ‘퓨처 2030 서밋’ 개최
- LG전자, SK엔무브·GRC와 손잡고 AI 데이터센터 냉각솔루션 ‘액침냉각’으로 확장
- LG전자, KT와 ‘양자 인터넷 통신’ 공동 개발
- LG디스플레이, 3분기 영업익 4310억원···OLED 체질 개선 효과 본격화
- LG전자, 3분기 영업익 6889억원···관세·전기차 캐즘에도 가전·전장 최대 실적
- LG전자, 플렉스와 모듈형 데이터센터 냉각 솔루션 개발
- 정철동 사장 "LG디스플레이만의 해자 만들자···年 흑자 가능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