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 9시∼오후 9시 37분 日 16회 운항···예비선 상시 배정
내년 3월 오전 7시부터 운항·출퇴근 15분 간격 급행 추가

한강버스가 약 한 달간 점검을 마치고 다음달부터 운항을 재개한다. 지난 달 29일 서울 강서구 마곡선착장에서 한강버스가 멈춰 서 있다./사진=연합뉴스
한강버스가 약 한 달간 점검을 마치고 다음달부터 운항을 재개한다. 지난 달 29일 서울 강서구 마곡선착장에서 한강버스가 멈춰 서 있다./사진=연합뉴스

| 스마트에프엔 = 지원선 기자 | 잦은 고장으로 인한 안전 확보와 품질 개선을 위해 멈췄던 한강버스가 약 한 달간 점검을 마치고 다음달부터 운항을 재개한다.

서울시는 다음 달 1일 오전 9시부터 한강버스 운항을 재개할 예정이라고 27일 밝혔다.

앞서 서울시는 지난 한달 간 데이터 축적, 성능 안정화, 운항 인력 업무 숙련도 향상을 위해 승객 미탑승 상태로 시범 운항을 했다.

4척으로 정식 운항을 시작한 한강버스는 정식 운항 열흘 만에 잦은 고장이 발생하자 하루 2척으로 축소 운영하기도 했다.

서울시는 이 기간 300회 이상의 반복 운항을 실시하며 선착장 접·이안과 교각 통과 등 실제 운항 여건과 동일한 훈련을 진행, 선박의 안전성·서비스 품질을 보강했다.

한강버스는 다음달 운항이 재개되면 당초보다 2시간 이른 오전 9시에 운항을 시작한다. 오후 9시37분(도착지 기준)까지, 주중·주말 1시간30분 간격으로 하루 16회 운항한다.

같은 시각에 선박 2척을 배치해 결항을 방지한다. 예비선을 상시 배정해 결항을 없애고 탑승객 불편을 최소화한다.

한강버스는 동절기 기상 및 운항 환경 변화·적응을 고려해 내년 3월까지 하루 16회 운항 스케줄을 유지할 예정이다.

내년 3월부터는 출·퇴근 급행 노선(15분 간격) 포함 오전 7시~오후 10시 30분, 총 32회로 운항을 확대할 예정이다. 노선은 마곡에서 잠실까지 총 7개 선착장(마곡-망원-여의도-압구정-옥수-뚝섬-잠실)을 운항한다.

요금은 편도 성인 3000원(청소년 1800원, 어린이 1100원)으로 변동 없이 운영되며, 지난 8월부터 선착장 연계를 위해 연장·신설된 시내버스도 현재 정상 운행 중이다.

이용객들은 대중교통 환승할인을 통해 편리하고 저렴하게 한강버스에 승선할 수 있으며, 5000원이 추가된 기후동행카드 '한강버스 권종'을 별도로 충전해 사용 시 무제한으로 탑승할 수 있다.

실시간 운항 시간표, 잔여 좌석 수 등 운항 정보와 기상 상황에 따른 선박 결항 정보는 주요 모빌리티 앱(네이버 지도, 카카오맵)에서 확인 가능하다.

박진영 서울시 미래한강본부장은 "한 달여간 안정화 운항을 통해 선박 안전과 서비스 품질 보강을 완료했다"며 "서비스 품질 향상과 안전성 제고에 최선을 다해 한강버스가 시민분들께 신뢰받는 대중교통 수단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